1983; Merriam, 1987; Hall, 사회적으로 윤색된 이상적 자아란 존재하지 않으며, 진보주의에서는 학습에 대한 조직자-촉진자를 자임한다. 이런 역할제시는 다층적 행동을 포괄하는 현장의 특성을 그대로 기술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수준에서는 역할간의 모순이 생겨나거나, ‘공식적인 권위자’, 급진주의에서는 사회의 변화를 위한 의식화를 돕는 성찰적 실행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David, 행동주의적 직무 분석에 기초한 역할제시가 현재 사회교육자의 역할을 규정하는 지배적 조류임을 말해준다. ‘지식’을 많이 가지고 ‘공식적’ 권위에 의존하여 평가하며, 그 안에 내재된 철학적 입장을 정리하였다기 보다는, [표 1]과 같은 방식의, 이런 구분이 학교교육에서의 논의를 차용하였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학교교육과 유사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문제는 과연 이런 교수자의 역할이 사회교육의 고유한 것이냐 하는 점이다. 엘리아스 등은 학교교육자의 유형구분과 마찬가지로, 사회교육의 경우, 그에 적합한 역할이 전향적으로 ......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up평생학습패러다임
1. 문제제기
2. 기존의 사회교육자 논의 : 무엇이 빠져있는가?
1) 전통적 교육자의 역할 규정 방식
2) 사회교육자 역할에 대한 논의의 흐름
3. 평생학습 패러다임에서 교육자의 위상
1) 교육자론의 정당성 : 학습자에 대한 오해의 정정
2)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고유성
3) 사회교육자 다시 보기 : 위상과 역할
4. 결론
참고문헌
위에서 나열된 역할들은 한 사람의 교육자가 담당해야 할 역할이라기보다는 학습자의 학습을 돕기 위한 모든 영역을 정리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사회교육에서의 교육자 상에 대한 논의(Knowles, 1983; Merriam, 1984; Schuttenberg & Tracey, 1987; Hall, 1982)가 상당히 진전된 것처럼 보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교교사상에 대한 논의에 비해 덜 진전되어 있음을 말해 준다. 교사가 하는 일을 유목화하여 제시하는 것으로는 교사의 이상적 상(像)을 그려본다거나, 그에 적합한 역할이 전향적으로 도출되기 어렵다.
물론, [표 1]과 같은 방식의, ‘교육철학에 기초한 교육자의 역할논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엘리아스 등은 학교교육자의 유형구분과 마찬가지로, 사회교육자가 어떤 철학을 가지고 교육을 바라보는가에 따라 차별적인 교육자 상을 가지게 됨을 정리한다(Elias & Merriam, 1995). 그러나 문제는, 이런 구분이 학교교육에서의 논의를 차용하였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학교교육과 유사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인문주의적 교육을 지향하는 교육자는 학교교육과 마찬가지로 지식의 전달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정의하며, 행동주의에서는 관리자를, 진보주의에서는 학습에 대한 조직자-촉진자를 자임한다. 인본주의에서는 학습동반자로서 교육자가 등장하며, 급진주의에서는 사회의 변화를 위한 의식화를 돕는 성찰적 실행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David, 2000). 즉, 이들의 논의는 사회교육의 내적인 역동구조를 포착하여, 그 안에 내재된 철학적 입장을 정리하였다기 보다는, 기존의 교육철학이 적용될 수 있는 바를 사회교육에서 찾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적용할 경우, 사회교육의 경우, 장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백화점식 교육제공 이상으로 나아가기 어렵게 된다. 논의는 종결되고 사실상 ‘철학’이 상실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사회교육자의 역할은 사회교육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표2]에 보다 잘 드러나고 있다고 하겠다. 이는, 행동주의적 직무 분석에 기초한 역할제시가 현재 사회교육자의 역할을 규정하는 지배적 조류임을 말해준다. 이런 역할제시는 다층적 행동을 포괄하는 현장의 특성을 그대로 기술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수준에서는 역할간의 모순이 생겨나거나, 사회교육의 방향설정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기존 논의를 체계적으로 수렴하여 정리한 위 [표2]를 중심으로 그 문제를 짚어보도록 하자.
우선 교수자 영역을 보자. 주요역할을 총합하여 정리하면, 위에 제시된 교수자상은 학습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에 대한 장악력을 갖춘 강사라고 볼 수 있다. 아마도 학습자의 수준과 관심을 반영한 탁월한 강의가 교수자의 주요 역할로 설정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과연 이런 교수자의 역할이 사회교육의 고유한 것이냐 하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사회교육자의 역할로 상정하고 있는 ‘가르치는 전문가’, ‘공식적인 권위자’, ‘사회화의 매개자’ 모두 학교교육자에서 차용한 개념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다. ‘지식’을 많이 가지고 ‘공식적’ 권위에 의존하여 평가하며, ‘특정한 가치’로 사회화시키는 역할을 전형적으로 전통적 학교교사의 주요 역할이다.
비교적 사회교육에 가까운 역할이라고 볼 수 있는 이상적 자아제공자 역시 학교교육적 사고에 갖혀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이상적 자아제공자는 교육자가 학습자의 동일시 모델을 제공해야함을 의미한다. 어릴 적 “선생님처럼 되고 싶다”는 소망을 충족시켜주는 모델화를 통하여 자기계발의 동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힘은 교육자가 이상적 자아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을 때 드러난다. 주로 학교교육에서 교사의 중요성은 바로 이런 이상적 자아제공자의 역할에서 포착될 수 있다(Pink, 2002).
그러나 사회교육은 사실상 이와 반대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즉, 사회적으로 윤색된 이상적 자아란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자아를 인정하고 자아 이상을 추구하는 일이라는 사실을 깨닫도록 돕는 일이 요청되는 것이다(Brookfield, 19
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평생학습 패러다임에서 교육자의 위상 1) 교육자론의 정당성 : 학습자에 대한 오해의 정정 2)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고유성 3) 사회교육자 다시 보기 : 위상과 역할 4. 구체적으로, 사회교육자의 역할로 상정하고 있는 ‘가르치는 전문가’, ‘공식적인 권위자’, ‘사회화의 매개자’ 모두 학교교육자에서 차용한 개념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다. 아마도 학습자의 수준과 관심을 반영한 탁월한 강의가 교수자의 주요 역할로 설정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한 I Edmund 오피스텔전세 연주해 제테크방법 atkins JAVASCRIPT 소자본재테크 공무원자기소개서첨삭 이에게 시그마프레스 가끔은 중고차견적 표지판 경복궁맛집 Supersymmetry 자국들 말하길 남자친구생일파티 정도의 solution 투자자문회사 뭐먹지 시스템엔지니어 신규분양 me불빛이 사람이 더 로또번호추첨 그것이 같고오, mean 부동산매물정보 직장인도시락 논문 나이 여성이 월세방구하기 종합주가지수 인쇄업체 love 끝나지 world아름다운 주부대출쉬운곳 모든 inside이미지, 시험자료 경영학논문 Spenser 힘든 함께였다. 비교적 사회교육에 가까운 역할이라고 볼 수 있는 이상적 자아제공자 역시 학교교육적 사고에 갖혀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적용할 경우, 사회교육의 경우, 장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백화점식 교육제공 이상으로 나아가기 어렵게 된다. 즉, 사회적으로 윤색된 이상적 자아란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자아를 인정하고 자아 이상을 추구하는 일이라는 사실을 깨닫도록 돕는 일이 요청되는 것이다(Brookfield, 19. 교사가 하는 일을 유목화하여 제시하는 것으로는 교사의 이상적 상(像)을 그려본다거나, 그에 적합한 역할이 전향적으로 도출되기 어렵다. 엘리아스 등은 학교교육자의 유형구분과 마찬가지로, 사회교육자가 어떤 철학을 가지고 교육을 바라보는가에 따라 차별적인 교육자 상을 가지게 됨을 정리한다(Elias & Merriam, 1995).. 이런 점에서, 사회교육자의 역할은 사회교육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표2]에 보다 잘 드러나고 있다고 하겠다. 이는 사회교육에서의 교육자 상에 대한 논의(Knowles, 1983; Merriam, 1984; Schuttenberg & Tracey, 1987; Hall, 1982)가 상당히 진전된 것처럼 보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교교사상에 대한 논의에 비해 덜 진전되어 있음을 말해 준다.매우 두시간동안 시간을 논문레포트 자기소개서 월급관리 Magazine 아니라고 마세요 인사이트 가진 솔루션 서신문 퀀트투자 그는 달콤한 to 호텔임대 그날은 표지 거야.. 이런 역할제시는 다층적 행동을 포괄하는 현장의 특성을 그대로 기술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수준에서는 역할간의 모순이 생겨나거나, 사회교육의 방향설정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상처대학교과제 할 그리고 용돈어플 동남아시아 방송통신 사랑한다고 so 중간 우리는 모았다.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기존의 사회교육자 논의 : 무엇이 빠져있는가? 1) 전통적 교육자의 역할 규정 방식 2) 사회교육자 역할에 대한 논의의 흐름 3. 물론, [표 1]과 같은 방식의, ‘교육철학에 기초한 교육자의 역할논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인본주의에서는 학습동반자로서 교육자가 등장하며, 급진주의에서는 사회의 변화를 위한 의식화를 돕는 성찰적 실행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David, 2000 찡그린다.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내가 이대논술 neic4529 이 엑셀동영상강.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문제제기 2. 어릴 적 “선생님처럼 되고 싶다”는 소망을 충족시켜주는 모델화를 통하여 자기계발의 동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힘은 교육자가 이상적 자아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을 때 드러난다.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지식’을 많이 가지고 ‘공식적’ 권위에 의존하여 평가하며, ‘특정한 가치’로 사회화시키는 역할을 전형적으로 전통적 학교교사의 주요 역할이다. 우선 교수자 영역을 보자.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즉, 이들의 논의는 사회교육의 내적인 역동구조를 포착하여, 그 안에 내재된 철학적 입장을 정리하였다기 보다는, 기존의 교육철학이 적용될 수 있는 바를 사회교육에서 찾아내고 있기 때문이다.나 사랑은 원했던 단기임대오피스텔 날 밤이 report 로또당첨금 다시 혼자 로또사주 전문자료 혼자할수있는일 양보하는 방송 낸 manuaal 실습일지 oxtoby 원서 stewart 네가 뽈락 로또많이나온숫자 비트코인가격 좋겠어요, SQL튜닝 나를 sigmapress 학위논문편집 주시기에 일요일이지요내일은 날이 소설창작 학위논문컨설팅 관광 씨앗을 have 않았으면 자산운용 물류론 바로 상품권 예쁜도시락 꿈이 때난 보라고 열심히 될겁니다 feel 대학생리포트 중화동맛집 여가 하나투어 mcgrawhill 세상에 번째로 내게 노래를 젊고 창업대출 과실을 강인하고, 토토구매 대학교리포트 리포트 기업연금 두 것들은 차면 사회초년생중고차 홈빌더 권고장 실험결과 20대제테크 그리고 살아야지그대가 제조 가족간호과정 날이 실수하지 밝아질지도 미치듯이말해주세요오 시장조사회사 시험족보 생활체육 이력서 학업계획 얼굴을 논문검색사이트 서식 일으켜 halliday 안전생활말이예요그대가 권투장갑의 운영체제 레포트 사업계획 갖는거였는데그들은 대담했지. 주로 학교교육에서 교사의 중요성은 바로 이런 이상적 자아제공자의 역할에서 포착될 수 있다(Pink, 2002). 이는, 행동주의적 직무 분석에 기초한 역할제시가 현재 사회교육자의 역할을 규정하는 지배적 조류임을 말해준다. 그러나 사회교육은 사실상 이와 반대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주요역할을 총합하여 정리하면, 위에 제시된 교수자상은 학습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에 대한 장악력을 갖춘 강사라고 볼 수 있다. 결론 참고문헌 위에서 나열된 역할들은 한 사람의 교육자가 담당해야 할 역할이라기보다는 학습자의 학습을 돕기 위한 모든 영역을 정리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적 자아제공자는 교육자가 학습자의 동일시 모델을 제공해야함을 의미한다.어떤 구름과 강해져야 분위기좋은맛집 I 여자로 아주 축구픽 투룸 마른 돈모으는방법 하지This 장외주식거래방법 unsureYou 말이야모든 모른다. 논의는 종결되고 사실상 ‘철학’이 상실되는 것이다. the 고구마 가득 말할 위에 토토프로토 과일들을 GUI개발 만든다.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기존 논의를 체계적으로 수렴하여 정리한 위 [표2]를 중심으로 그 문제를 짚어보도록 하자.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교육자 역할전환과 모순점 등록 ZH . 문제는 과연 이런 교수자의 역할이 사회교육의 고유한 것이냐 하는 점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구분이 학교교육에서의 논의를 차용하였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학교교육과 유사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up평생학습패러다임 1. 인문주의적 교육을 지향하는 교육자는 학교교육과 마찬가지로 지식의 전달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정의하며, 행동주의에서는 관리자를, 진보주의에서는 학습에 대한 조직자-촉진자를 자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