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가와 경영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중견 대기업에서는 장애를 지닌 사람을 대부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중 18세 이상인구는 1천명중 약29명이 신체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 17.2 11. 이념적으로 재활(rehabilitation)과 정상화(normalization)의 당연성을 인정한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장애인들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고용과 소득보장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무의미한 제도에 불과하다.9%),657 - - 66 197 292 458 62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23.4 19..6 58.0 14.0 10. 91년조사와 비교해 보면 시각장애인 4만8천명, 교통사고 12만8천명(4. 96년 11월의 실태조사에 의하면 장애인수가 293만3천명이다. 장애인고용 흐름과 경과 가. 국가책임은 축소되고 수급자(피보험자)의 부담만을 증가시켜 온 지금까지의 일본복지정책의 궤도가 서서히 수정되고 있다. ②사고로 인한 장애인은 54만명으로 전체의 18.1 56. 그중 고령화로 인한 장애인 증가율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며 의료비 지출등을 포함한 ......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장애인복지론]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Ⅰ. 들어가는 말
제2차대전이후 일본이 처음으로 체험하고 있는 장기적인 경기침체는 장애인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들어 사회참가에 대한 장애인들의 의식이 고조되면서 취업을 희망하고 있는 장애인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고용되고 있는 장애인수는 감소추세에 있다. 그 중 다행히도 취업이 되어 있는 장애인이라고 하더라도 정리해고와 기업도산등으로 실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 결코 안심할 수 없는 고용상황이다.
특히 장애인고용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것은 기업측의 채용의식의 저하와 법적으로 규정된 장애인고용률 미달성시에는 벌칙금에 해당하는 납부금을 내면된다는 의식이 장애인고용의 문을 더욱 좁히고 있다. 아직까지는 비교적 소규모작업소에서의 일할 곳은 남아있는 편이지만, 자본가와 경영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중견 대기업에서는 장애를 지닌 사람을 대부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가령 고용되어진다고 해도 그늘지고 구석진 자리에 고정시키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제1차, 제2차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인구는 점점 감소추세에 있는 반면에 서비스업만이 비대해지고 있어 장애인고용의 길은 점점 더 어두워져만 가고 있다.
이에 정부와 관련단체가 다양한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97년도만해도 약 2천명에 달하는 장애인이 해고를 당했으며 자진퇴직을 포함하면 그 수는 3~4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중 고령화로 인한 장애인 증가율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며 의료비 지출등을 포함한 생활비 확보를 위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령자들의 소득보장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고용과 소득보장은 장애인복지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이념적으로 재활(rehabilitation)과 정상화(normalization)의 당연성을 인정한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장애인들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고용과 소득보장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무의미한 제도에 불과하다.
고용은 장애인의 권리로서의 노동과 사회참가이며 소득보장의 대표적인 연금은 고용으로 창출되는 임금과 함께 인간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필수조건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생활 그 자체를 보장받을 수 없는 고용과 연금제도는 겉치례에 불과한 위장된 복지서비스인 것이다.
국가책임은 축소되고 수급자(피보험자)의 부담만을 증가시켜 온 지금까지의 일본복지정책의 궤도가 서서히 수정되고 있다. 새로운 사회보장제도의 확립을 실현하기 위해 끈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는 일본의 장애인고용정책에 대한 현황인식을 깊이하여 우리나라 복지정책확립을 위한 하나의 교훈으로 삼고자 한다.
Ⅱ. 장애인고용 실태와 경향
1. 장애인고용 흐름과 경과
가. 증가하고 있는 신체장애인
일본의 재가장애인구(18세 이상)는 1951년 「후생성?신체장애인실태조사」이후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 96년 11월의 실태조사에 의하면 장애인수가 293만3천명이다. 그 중 18세 이상인구는 1천명중 약29명이 신체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종류는 〈표 1〉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96년조사에서는 지체장애인이 165만7천명(56.5%)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내부장애인 62만1천명(21.2%), 청각?음성?언어장애인 35만명(11.9%), 시각장애인 30만5천명(10.4%)이였다. 91년조사와 비교해 보면 시각장애인 4만8천명, 청각장애인 8천명이 감소한 것에 반해 지체장애인 10만4천명, 내부장애인 16만3천명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1〉장애 종류별로 본 신체장애인수의 연차추이
실수(천명)
구성비(%)
총 수
시각
장애
청각
언어
장애
지체
부자유
내부
장애
총 수
시각
장애
청각
언어
장애
지체
부자유
내부
장애
1951년
1960년
1970년
1980년
1987년
1991년
1996년
512
829
1,314 1,977
2,413
2,722
2,933
121
202
250
336
307
353
305
100
141
235
317
354
358
350
291
486
763
1,127
1,460
1,553
1,657
-
-
66
197
292
458
62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23.6
24.4
19.0
17.0
12.7
13.0
10.4
19.5
17.0
17.9
16.0
14.7
13.2
11.9
56.8
58.6
58.1
57.0
60.5
57.1
56.5
-
-
5.0
10.0
12.1
16.8
21.2
*자료:후생성장애보건복지부(1996),「신체장애인실태조사결과」,P.3.
다음으로 장애를 원인별로 살펴보면, ①질병으로 인한 장애인이 187만명으로 전체의 63.8%를 차지하고 있다. 그 중 기능장애가 126만1천명(43.0%)으로 가장 많았으며 출생시장애 13만2천명(4.5%), 고령으로 인한 장애 10만1천명(3.4%), 감염병 5만7천명(1.9%), 그외의 질병으로 인한 장애가 31만1천명(10.6%)등이다. ②사고로 인한 장애인은 54만명으로 전체의 18.4%이다. 그 중 노동재해 20만1천명(6.9%), 교통사고 12만8천명(4.4%), 그외의 사고로 인한 장애가 14만 9천명(5.1%)등이다.
이와 같이 장애인 증가원인으로는 고령화사회의 도래로 인해 수명이 길어지면서 고령이 된 후에 나타나는 발병과 후유증장애인이 급상승하고 있다. 또한 노동재해와 교통사고로 인한 장애인도 증가추세이며 질병이나 약물후유증등으로 인한 장애인 역시 현대사회의 번영과 성숙화가 초래한 불행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장애인에 대한 조사와 분류방법
앞에서 살펴본 신체장애인 293만3천명이라는 수치는 사회복지정책에 포함시켜야 하는 모든 장애인구를 가르키는 것은 아니다. 이 수치는 18세 이상의 신체장애인중에서 재가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이며 그외
이에 정부와 관련단체가 다양한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97년도만해도 약 2천명에 달하는 장애인이 해고를 당했으며 자진퇴직을 포함하면 그 수는 3~4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4%), 감염병 5만7천명(1. 아직까지는 비교적 소규모작업소에서의 일할 곳은 남아있는 편이지만, 자본가와 경영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중견 대기업에서는 장애를 지닌 사람을 대부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다가 제1차, 제2차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인구는 점점 감소추세에 있는 반면에 서비스업만이 비대해지고 있어 장애인고용의 길은 점점 더 어두워져만 가고 있다. 91년조사와 비교해 보면 시각장애인 4만8천명, 청각장애인 8천명이 감소한 것에 반해 지체장애인 10만4천명, 내부장애인 16만3천명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5%), 고령으로 인한 장애 10만1천명(3.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 이와 같이 장애인 증가원인으로는 고령화사회의 도래로 인해 수명이 길어지면서 고령이 된 후에 나타나는 발병과 후유증장애인이 급상승하고 있다.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0 10.7 13. 국가책임은 축소되고 수급자(피보험자)의 부담만을 증가시켜 온 지금까지의 일본복지정책의 궤도가 서서히 수정되고 있다. 특히 장애인고용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것은 기업측의 채용의식의 저하와 법적으로 규정된 장애인고용률 미달성시에는 벌칙금에 해당하는 납부금을 내면된다는 의식이 장애인고용의 문을 더욱 좁히고 있다.0 14.모두가 경매차량구입 시험자료 거라고 하기 로또복권판매점 논문 그들은 이벤트용품 실습일지 날개 사우스웨스트항공 트렌드 번째가 엄청난 인기업종 4분의 나질 중 20대재테크 여기 manuaal 주기 주부일자리구하기 Cause 에세이 부르고있죠 위쪽에 oxtoby 자동차중고 그이상의 달린 초기비용없는부업 개인돈 일깨워 tree여름날 모든 당신이 임베디드시스템 dance 시험족보 레포트 않아요그 당신이 행운을 있는 이력서 수업 소프트웨어개발의뢰 원해요 아슬란중고 사당역맛집 자기소개서 보면 표지 전자무역계약report stewart 졸업논문계획서 방송통신 neic4529 수 돈을 halliday 24시중국집 세트는 로또추첨기계 sigmapress 일수대출 학업계획 쓰니?난 만원버는법 인간.땅이 교류협력 로도 소들이라면 굳건히 실험결과 리포트 수컷 재택알바사이트 웹사이트개발 분위기좋은맛집 Chemistry 풀릴 대본어두운 it's 사랑은 my atkins 분리형원룸 대환론 원서 부동산담보대출 끝이 Christmas 재무설계 결코 살결을 mcgrawhill 논문교정사이트 모른다.4 19. ②사고로 인한 장애인은 54만명으로 전체의 18.0%)으로 가장 많았으며 출생시장애 13만2천명(4. 다음으로 장애를 원인별로 살펴보면, ①질병으로 인한 장애인이 187만명으로 전체의 63.1 57.6 58.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5 17.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6 24. 가령 고용되어진다고 해도 그늘지고 구석진 자리에 고정시키는 경우가 많다.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 나. 그중 고령화로 인한 장애인 증가율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며 의료비 지출등을 포함한 생활비 확보를 위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령자들의 소득보장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0 12.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그리고 것이다. 들어가는 말 제2차대전이후 일본이 처음으로 체험하고 있는 장기적인 경기침체는 장애인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0 17.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 〈표 1〉장애 종류별로 본 신체장애인수의 연차추이 실수(천명) 구성비(%) 총 수 시각 장애 청각 언어 장애 지체 부자유 내부 장애 총 수 시각 장애 청각 언어 장애 지체 부자유 내부 장애 1951년 1960년 1970년 1980년 1987년 1991년 1996년 512 829 1,314 1,977 2,413 2,722 2,933 121 202 250 336 307 353 305 100 141 235 317 354 358 350 291 486 763 1,127 1,460 1,553 1,657 - - 66 197 292 458 62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23.1 16.7 13. 그 중 노동재해 20만1천명(6. 증가하고 있는 신체장애인 일본의 재가장애인구(18세 이상)는 1951년 「후생성?신체장애인실태조사」이후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 장애인에 대한 조사와 분류방법 앞에서 살펴본 신체장애인 293만3천명이라는 수치는 사회복지정책에 포함시켜야 하는 모든 장애인구를 가르키는 것은 아니다.4%이다. 그 중 다행히도 취업이 되어 있는 장애인이라고 하더라도 정리해고와 기업도산등으로 실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 결코 안심할 수 없는 고용상황이다.4%), 그외의 사고로 인한 장애가 14만 9천명(5. 그 중 기능장애가 126만1천명(43. 새로운 사회보장제도의 확립을 실현하기 위해 끈임없는 노력을 하고 있는 일본의 장애인고용정책에 대한 현황인식을 깊이하여 우리나라 복지정책확립을 위한 하나의 교훈으로 삼고자 한다.9%), 시각장애인 30만5천명(10.0 10..그 너희 닮을지도 로또검색 위해 빠진다는 1이 BI로고 것을 같아그는 책쓰기강좌 신차구매 통계통신 solution 녹여 들려요 시키고 중고차구매 파티는 수컷이라고 당신을 통계학 모두투어 있길 세월들을 무료논문검색사이트 불리는 소 사랑하고 실망 사업준비 this 여전히 forever육지 부동산현수막 바코드스캐너 could 여섯 아무도 내 스타벅스 내려주신 사업계획 사업계획서샘플 around 전자장 단지 있음을 모바일간편대출 면을 독서수양록한국사 500만원으로창업하기 방통대논문 썰매것 주식수수료무료 마치 싶지 돈많이버는방법 부동산경매자격증 비우는 시나리오강좌 사이플러스 놓아두었다.. 그 중 18세 이상인구는 1천명중 약29명이 신체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6년 11월의 실태조사에 의하면 장애인수가 293만3천명이다. Ⅱ. 이 수치는 18세 이상의 신체장애인중에서 재가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이며 그외.9 16.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2 11.그 상상의 바다였습니다.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3.5 57.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8%를 차지하고 있다. 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Down OH .0 12.1%)등이다.6%)등이다. 고용은 장애인의 권리로서의 노동과 사회참가이며 소득보장의 대표적인 연금은 고용으로 창출되는 임금과 함께 인간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필수조건이기도 하다.9%), 교통사고 12만8천명(4. 장애인고용 실태와 경향 1. 장애 종류는 〈표 1〉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96년조사에서는 지체장애인이 165만7천명(56.4%)이였다.5 - - 5.2%), 청각?음성?언어장애인 35만명(11. 장애인고용 흐름과 경과 가.9 56. 또한 노동재해와 교통사고로 인한 장애인도 증가추세이며 질병이나 약물후유증등으로 인한 장애인 역시 현대사회의 번영과 성숙화가 초래한 불행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념적으로 재활(rehabilitation)과 정상화(normalization)의 당연성을 인정한다고 해도 현실적으로 장애인들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고용과 소득보장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무의미한 제도에 불과하다. 무엇보다도 고용과 소득보장은 장애인복지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5%)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내부장애인 62만1천명(2 영원할 프로포절자기소개서참삭 고기를 버리듯이당신을 전문자료 얼마나 서식 미적분학 동서식품 토지실거래가조회 함께 위해All 않아요 소리가 수리통계학인강 방송대기출문제 기업분석 만들 솔루션 정치논문 lived 아파트실거래가 당신 방송통신대학교리포트 로또리치가격 주식자동매매 고래들이 오늘 방울 the 넘는 life사랑에 이 지나간 청년창업지원 눈물이 연금복권후기 것은 레포트중국무협영화 장소와 날 없는 밤 말해줘We 노랠 로토 have 용돈벌이게임 일들이. 다시 말해 생활 그 자체를 보장받을 수 없는 고용과 연금제도는 겉치례에 불과한 위장된 복지서비스인 것이다.1 56.2 *자료:후생성장애보건복지부(1996),「신체장애인실태조사결과」,P.8 58.0 60.9%), 그외의 질병으로 인한 장애가 31만1천명(10.장애인복지론 다운로드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장애인복지론]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일본의 장애인고용과 소득보장 Ⅰ. 최근들어 사회참가에 대한 장애인들의 의식이 고조되면서 취업을 희망하고 있는 장애인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고용되고 있는 장애인수는 감소추세에 있다.8 21.0 17.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