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자료 실험보고서 - 인장강도 레폿
[목차]
1. 실험목적
1) 재료의 성질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인장시험을 통해서 그 재료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수축율 등의 기계적인 성질과 탄성한계, 비례한계, Poisson비, 탄성 계수 등의 물리적 특성을 구할 수 있다.
2) 인장시험에 사용되는 시험기기의 사용법을 배우고 그에 따른 실험의 방법을 익히고 실습을 통하여 실험 중에 주의할 점을 배운다.
2. 실험이론
①인장 응력(tensile strain) : 시편의 변형이 일어나기 이전의 초기단면적(A0)당 가해진 인장력의 크기로 정의되는데, σ로 표시하며 kg/cm2 또는 Pa의 단위로 나타낸다.
② 인장 변형률(tensile strain) : 시편의 원래 표선간 거리가 L0이던 것이 인장력에 의해서 △L 만큼의 변화가 생겼다면, 이때의 인장 변형율 또는 신장율 ε은 ε〓△L/L0로 정의되며, 백분율로 나타낼 수도 있다.
③ 항복점(yield point) : 응력-변형 곡선에서 하중의 증가가 없어도 신장율이 증가되기 시작하는 점이다. 이때의 응력을 항복 강도(yield strength, σY), 변형율을 항복 신장율(elongation at yield, εY)이라 부른다.
④ 인장 탄성율(tensile modulus or elastic modulus) : 일반적으로 변형율이 작은 구간에서는 응력-변형 관계가 직선적으로 변하는데, 이 구간에서의 변형율에 대한 응력의 비, 즉 σ/ε를 인장 탄성율(E) 또는 영율(Young`s modulus)이라 한다. 단위는 kg/cm2 또는 Pa로 나타낸다.
⑤ 파단 강도(…(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