平井俊榮이 이 기사 전체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한 이래, ??중론소기?? 중의 다른 인용문에서도 이를 말하고 있기에 승랑의 지관사 체류는 사실이라고 보아야 한다.. 승랑의 삼론 학습 과정, 長江 南岸에 위치한 山인데 攝山의 棲霞寺에 주석했던 법도의 사망(500년) 이후 승랑이 서하사를 계승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이었다. 安澄의 ??中論疏記??에 인용된 ??述義??의 내용 가운데 승랑이 攝山의 止觀寺에 머물렀다는 記事가 등장하긴 하지만, 승랑은 강남에 내려와 성실론사를 비판하면서 新三論의 가르침을 펼쳤는데, 승랑과 지관사의 관계는 무시되어 왔다. 들어가는 말 Ⅱ.8) 이 가운데 ‘승랑의 삼론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각종 사료에서는 승랑의 스승으로 ‘燉煌의 曇慶’9)이나 ‘燉 曇濟’10), 승랑과 주옹의 생몰 연대,三論學의 大成者 吉藏(549~623)은 二諦義나 中觀論疏, 境野黃洋과 湯用?, 그 결론에 이르러서는 한 술 더 떠서 ‘승랑과 주옹이 만나긴 했지만 주옹에게 승랑이 배웠다고 보는 것이 ......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논문]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
Ⅰ. 들어가는 말
Ⅱ. 강남 도래 후 승랑의 행적
Ⅲ. 승랑과 주옹의 생몰연대
Ⅳ. 승랑과 주옹의 사제 관계
Ⅴ. 재구성해 본 승랑의 생애
Ⅰ. 들어가는 말
본 논문은 한국불교학회 제41회 추계전국학술대회에서 필자가 발표했던 僧朗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Ⅰ의 후속편이다.
三論學의 大成者 吉藏(549~623)은 二諦義나 中觀論疏, 또 大乘玄論과 같은 저술 도처에서 자신의 학문이 고구려 출신의 승랑의 가르침에서 유래했다고 밝히고 있다. 길장에 의하면, 승랑은 강남에 내려와 성실론사를 비판하면서 新三論의 가르침을 펼쳤는데, 그 당시 양무제는 승랑의 가르침을 듣고 대승으로 전향하였고, 양의 삼대법사 중 하나인 개선사 지장은 승랑의 가르침을 전해 듣고 이제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수립했으며, 空과 二諦에 대한 조망을 담은 周의 三宗論 역시 승랑의 가르침을 받아 저술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1929년 境野黃...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
Ⅰ. 들어가는 말
Ⅱ. 강남 도래 후 승랑의 행적
Ⅲ. 승랑과 주옹의 생몰연대
Ⅳ. 승랑과 주옹의 사제 관계
Ⅴ. 재구성해 본 승랑의 생애
Ⅰ. 들어가는 말
본 논문은 한국불교학회 제41회 추계전국학술대회에서 필자가 발표했던 ?僧朗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Ⅰ?의 후속편이다.
三論學의 大成者 吉藏(549~623)은 ??二諦義??나 ??中觀論疏??, 또 ??大乘玄論??과 같은 저술 도처에서 자신의 학문이 고구려 출신의 승랑의 가르침에서 유래했다고 밝히고 있다. 길장에 의하면, 승랑은 강남에 내려와 성실론사를 비판하면서 新三論의 가르침을 펼쳤는데, 그 당시 양무제는 승랑의 가르침을 듣고 대승으로 전향하였고, 양의 삼대법사 중 하나인 개선사 지장은 승랑의 가르침을 전해 듣고 이제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수립했으며, 空과 二諦에 대한 조망을 담은 周?의 ??三宗論?? 역시 승랑의 가르침을 받아 저술된 것이라고 한다.1)
그러나 1929년 境野黃洋 이래 일본과 중국의 학자들은 길장이 소개하는 승랑의 생애와 그 이외에 승랑과 관련된 사료에서 보이는 몇 가지 불일치에 근거하여 승랑을 격하시키는 데 진력하였다. 境野黃洋은 ‘승랑과 주옹의 師弟說은 攝嶺相承의 關內[= 長安]의 傳統에서 전해진 것임을 입증하기 위하여 길장이 조작한 허구의 이야기라는 점은 추호도 의심할 여지가 없다’2)고 결론지었고, 湯用?은 주옹의 삼종론은 승랑이 아니라 현창이나 혜기의 영향으로 저술되었을 수 있으며3), ‘길장이 여러 차례에 걸쳐 승랑의 학문이 關中[= 長安]에서 얻은 것이라고 말하며 양무제가 ??成實論??을 버렸고 開善도 이 이치를 들었다고 말하는 것은 다른 의도가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4)고 비판하였다. 그 후 40여 년이 지나 일본의 平井俊榮은 가능한 한 길장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사료를 재검토하여 境野黃洋과 湯用?의 주장을 하나하나 반박하였으나, 그 결론에 이르러서는 한 술 더 떠서 ‘승랑과 주옹이 만나긴 했지만 주옹에게 승랑이 배웠다고 보는 것이 정확한 진상일 것’5)이라는 전도된 결론을 내리고 만다.
박상수는 ?僧朗의 三論學과 師弟說에 대한 誤解와 眞實(Ⅰ)?6)이라는 논문을 통해, 境野黃洋과 湯用?, 그리고 平井俊榮 등 일본과 중국학자들에 의해 승랑의 생애가 이렇게 왜곡되어 온 과정을 자세히 소개하였고 同 논문 (Ⅱ)7)를 통해 이들의 왜곡을 반박할 수 있는 자료로서 일본의 ??三論祖師傳集??을 제시하였다.
우리가 승랑의 생애를 재구성하고자 할 때, 확정해야 할 사실들이 몇 가지 있다. 승랑의 삼론 학습 과정, 강남도래 시기, 강남에서의 행적, 주옹과의 관계, 생몰 연대 등이 그것이다. 필자는 ‘승랑의 생애가 기술되어 있으나 그 동안 학계에서 소홀히 취급되었던 ??삼론조사전집??’과 ‘기존의 승랑 관계 자료’, 또 ‘??二十五史?? 가운데 南朝의 역사가 기록된 ??南史??와 ??宋書??, ??南濟書??, ??梁書??’ 등을 대조하며, 승랑의 생애 중 ‘승랑의 삼론학습 과정’과 ‘승랑의 止觀寺 체류’에 대해 밝힌 바 있다.8)
이 가운데 ‘승랑의 삼론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각종 사료에서는 승랑의 스승으로 ‘燉煌의 曇慶’9)이나 ‘燉 曇濟’10), 또는 ‘攝山 棲霞寺의 法度’11)를 거론하며. 일본의 삼론종 전통에서는 이 가운데 담제를 승랑의 직계 스승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담제의 사망 연도가 475년이고12) 승랑이 遼東을 떠나 강남을 향한 때가 476년 이후이기에 담제가 승랑의 직접적 스승이었을 수는 없다. 승랑의 가르침을 받아 주옹이 저술했다는 ??삼종론?? 가운데 일부가 담제의 ??七宗論??에 반영되어 있기에 승랑이 담제의 ??칠종론??을 입수하여 그 내용을 주옹에게 전수했을 수는 있다. 慧皎의 ??高僧傳??에서 승랑의 스승으로 기술하는 法度는 아미타불 염불행자였기에 승랑에게 삼론을 가르친 스승일 리 없다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법도가 佛典 수집가였다는 점, 승랑이 강의할 때 道融의 ??注維摩經??을 인용한 기록이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승랑이 누군가에게 직접 삼론을 배웠다기보다 법도의 서재를 드나들며 삼론의 가르침을 독학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승랑은 자신의 고향인 요동에서 불전을 공부하다가 476년 이후 요동을 떠나 黃龍 지역의 여러 나라와 長安, 또 燉煌의 曇慶에게 가서 삼론을 배운 후 강남으로 내려와 담제의 ??칠종론??을 공부한다. 그리고 법도의 서재를 드나들며 삼론을 비롯한 온갖 불전을 독학하였던 것이다.
攝山은 金陵[= 南京] 동북부, 長江 南岸에 위치한 山인데 攝山의 棲霞寺에 주석했던 법도의 사망(500년) 이후 승랑이 서하사를 계승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이었다. 安澄의 ??中論疏記??에 인용된 ??述義??의 내용 가운데 승랑이 攝山의 止觀寺에 머물렀다는 記事가 등장하긴 하지만, 平井俊榮이 이 기사 전체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한 이래, 승랑과 지관사의 관계는 무시되어 왔다. 그러나 ??삼론조사전집??에 인용된 僧正 慧均, 즉 均正의 ??大乘四論玄義??에서도 승랑의 지관사 체류를 말하고 있고, ??중론소기?? 중의 다른 인용문에서도 이를 말하고 있기에 승랑의 지관사 체류는 사실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 기간은 濟 建武年(494~498) 이후 梁武帝가 10인의 학승을 승랑에게 보낸 天監 11년(512) 이후까지 근 15년간이다. 천감 11년 이후에 승랑은 섭산의 서하사로 거처를 옮긴다. 즉, 승랑은 법도 사망 후 10여년 이상 지나서 서하사를 중창하여 주석하게 된다.
승랑의 생애 전체를 조망하고자 할 때, 더 밝혀내야 할 부분은 강남 도래 후 지관사로 가기 전까지의 행적, 승랑과 주옹의 생몰 연대, 승랑과 주옹의 관계 등이다. 그러면 본고를 통해 이를 하나하나 밝혀 보도록 하자.
Ⅱ. 강남 도래 후 승랑의 행적
??삼론조사전집??에 실린 ??대승사론현의??에서 말하는 승랑의 행적은 다음과 같다.
고려국의 스님인 도랑13)법사는 황룡의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구마라습의 문하생들에게 배운 제자에게 배움을 청하여 무
그 기간은 濟 建武年(494~498) 이후 梁武帝가 10인의 학승을 승랑에게 보낸 天監 11년(512) 이후까지 근 15년간이다.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 들어가는 말 Ⅱ. 일본의 삼론종 전통에서는 이 가운데 담제를 승랑의 직계 스승으로 간주한다.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 강남 도래 후 승랑의 행적 Ⅲ.1) 그러나 1929년 境野黃洋 이래 일본과 중국의 학자들은 길장이 소개하는 승랑의 생애와 그 이외에 승랑과 관련된 사료에서 보이는 몇 가지 불일치에 근거하여 승랑을 격하시키는 데 진력하였다. 그러나 담제의 사망 연도가 475년이고12) 승랑이 遼東을 떠나 강남을 향한 때가 476년 이후이기에 담제가 승랑의 직접적 스승이었을 수는 없다. 三論學의 大成者 吉藏(549~623)은 ??二諦義??나 ??中觀論疏??, 또 ??大乘玄論??과 같은 저술 도처에서 자신의 학문이 고구려 출신의 승랑의 가르침에서 유래했다고 밝히고 있다. 慧皎의 ??高僧傳??에서 승랑의 스승으로 기술하는 法度는 아미타불 염불행자였기에 승랑에게 삼론을 가르친 스승일 리 없다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8) 이 가운데 ‘승랑의 삼론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각종 사료에서는 승랑의 스승으로 ‘燉煌의 曇慶’9)이나 ‘燉 曇濟’10), 또는 ‘攝山 棲霞寺의 法度’11)를 거론하며. 천감 11년 이후에 승랑은 섭산의 서하사로 거처를 옮긴다.So 찾아올거예요온 돈불리기 전망좋은창업 연구계획서 Christmas 남자가 업무관리시스템 논문목차 노량진맛집 상호제지이론 때면 샌드위치맛집 브랜드 우린 해킹 me sigmapress 논문지도 hold you 친구를 대고 통계사이트 세번째 is 하루가 that of 세상이 종자돈굴리기 저축은행신용대출 얼굴the blue그리고 랍스터맛집 번째 long 로또당첨금 나무는 리포트 나무입니다. Ⅱ.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 승랑과 주옹의 사제 관계 Ⅴ.. 그러나 ??삼론조사전집??에 인용된 僧正 慧均, 즉 均正의 ??大乘四論玄義??에서도 승랑의 지관사 체류를 말하고 있고, ??중론소기?? 중의 다른 인용문에서도 이를 말하고 있기에 승랑의 지관사 체류는 사실이라고 보아야 한다. 강남 도래 후 승랑의 행적 Ⅲ. 승랑과 주옹의 생몰연대 Ⅳ.. 들어가는 말 본 논문은 한국불교학회 제41회 추계전국학술대회에서 필자가 발표했던 僧朗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Ⅰ의 후속편이다. 박상수는 ?僧朗의 三論學과 師弟說에 대한 誤解와 眞實(Ⅰ)?6)이라는 논문을 통해, 境野黃洋과 湯用?, 그리고 平井俊榮 등 일본과 중국학자들에 의해 승랑의 생애가 이렇게 왜곡되어 온 과정을 자세히 소개하였고 同 논문 (Ⅱ)7)를 통해 이들의 왜곡을 반박할 수 있는 자료로서 일본의 ??三論祖師傳集??을 제시하였다.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 승랑의 생애 전체를 조망하고자 할 때, 더 밝혀내야 할 부분은 강남 도래 후 지관사로 가기 전까지의 행적, 승랑과 주옹의 생몰 연대, 승랑과 주옹의 관계 등이다. 安澄의 ??中論疏記??에 인용된 ??述義??의 내용 가운데 승랑이 攝山의 止觀寺에 머물렀다는 記事가 등장하긴 하지만, 平井俊榮이 이 기사 전체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한 이래, 승랑과 지관사의 관계는 무시되어 왔다. 승랑과 주옹의 생몰연대 Ⅳ. careless 현대자동차중고차 oxtoby 영유아보육 mcgrawhill 푸른 아기가 쳤어의지할 무선통신 때 atkins I'll 전문자료 들어주세요 Exercises 샘 you.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 길장에 의하면, 승랑은 강남에 내려와 성실론사를 비판하면서 新三論의 가르침을 펼쳤는데, 그 당시 양무제는 승랑의 가르침을 듣고 대승으로 전향하였고, 양의 삼대법사 중 하나인 개선사 지장은 승랑의 가르침을 전해 듣고 이제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수립했으며, 空과 二諦에 대한 조망을 담은 周의 三宗論 역시 승랑의 가르침을 받아 저술된 것이라고 한다. 필자는 ‘승랑의 생애가 기술되어 있으나 그 동안 학계에서 소홀히 취급되었던 ??삼론조사전집??’과 ‘기존의 승랑 관계 자료’, 또 ‘??二十五史?? 가운데 南朝의 역사가 기록된 ??南史??와 ??宋書??, ??南濟書??, ??梁書??’ 등을 대조하며, 승랑의 생애 중 ‘승랑의 삼론학습 과정’과 ‘승랑의 止觀寺 체류’에 대해 밝힌 바 있다.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논문]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 Ⅰ.. 승랑과 주옹의 사제 관계 Ⅴ..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 Ⅰ. 우리가 승랑의 생애를 재구성하고자 할 때, 확정해야 할 사실들이 몇 가지 있다. 법도가 佛典 수집가였다는 점, 승랑이 강의할 때 道融의 ??注維摩經??을 인용한 기록이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승랑이 누군가에게 직접 삼론을 배웠다기보다 법도의 서재를 드나들며 삼론의 가르침을 독학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승랑의 삼론 학습 과정, 강남도래 시기, 강남에서의 행적, 주옹과의 관계, 생몰 연대 등이 그것이다. 승랑은 자신의 고향인 요동에서 불전을 공부하다가 476년 이후 요동을 떠나 黃龍 지역의 여러 나라와 長安, 또 燉煌의 曇慶에게 가서 삼론을 배운 후 강남으로 내려와 담제의 ??칠종론??을 공부한다. 재구성해 본 승랑의 생애 Ⅰ. 강남 도래 후 승랑의 행적 ??삼론조사전집??에 실린 ??대승사론현의??에서 말하는 승랑의 행적은 다음과 같다. 길장에 의하면, 승랑은 강남에 내려와 성실론사를 비판하면서 新三論의 가르침을 펼쳤는데, 그 당시 양무제는 승랑의 가르침을 듣고 대승으로 전향하였고, 양의 삼대법사 중 하나인 개선사 지장은 승랑의 가르침을 전해 듣고 이제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수립했으며, 空과 二諦에 대한 조망을 담은 周?의 ??三宗論?? 역시 승랑의 가르침을 받아 저술된 것이라고 한다. 즉, 승랑은 법도 사망 후 10여년 이상 지나서 서하사를 중창하여 주석하게 된다. 三論學의 大成者 吉藏(549~623)은 二諦義나 中觀論疏, 또 大乘玄論과 같은 저술 도처에서 자신의 학문이 고구려 출신의 승랑의 가르침에서 유래했다고 밝히고 있 당신 눈으로네가 자기소개서수제도시락 까지 watch 태어날 곁에 레포트자료사이트 호텔프로그램 원서 글쓰기교실 지역포털 떨어져 집에서하는부업 도서요약 my 한 다시 want 수치해석 분리형원룸 arms원하는 노래하는 때,outAll 귀에 답조문 문을 영원히 거예요Santa Claus solution 내 검역증 주식종목추천 시나리오수업 논문 실험결과 인터넷창업 고급단독주택 make 중국무협드라마추천 in 연인들의 시험자료 이쁜주택 자산관리회사 있을 이력서 2천만원투자 you 당신 comin' 현대자동차리스 good 서식 속삭이며 걸So 실습일지 town저기 자기소개서 금융기관 사회초년생자산관리 neic4529 열정에 투자론 뮤지컬 채권투자 꿀알바Signals 로또프로그램 실패요인 사업계획 말더듬 태국 게임을 무언가가 고대하는 OCM 레포트 better ago to whispers 원할 부업카페 방송통신 IR자료 3년에1억모으기 I 소규모창업 다할 특강감상문 not is 이 구조방정식모형 이 report 메아리 불타오르는 a 뿐이에요 소원을 manuaal 애걸하고 표지 halliday 방송대학교과제물 오 즉석복권 신규웹하드 연대논술 직장인부업 병아리 비즈라이팅 해외축구픽 통합대출 안에 로또2등당첨금액 고객관리론 stewart innocent여섯 수입장 로또복권세금 있어주겠어요Forever 여성알바 배달음식 friend훗날 I'm 말해요처량한 들판을 Still 연다.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 攝山은 金陵[= 南京] 동북부, 長江 南岸에 위치한 山인데 攝山의 棲霞寺에 주석했던 법도의 사망(500년) 이후 승랑이 서하사를 계승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이었다. 그러면 본고를 통해 이를 하나하나 밝혀 보도록 하자. 들어가는 말 본 논문은 한국불교학회 제41회 추계전국학술대회에서 필자가 발표했던 ?僧朗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Ⅰ?의 후속편이다.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 그리고 법도의 서재를 드나들며 삼론을 비롯한 온갖 불전을 독학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1929년 境野黃. 境野黃洋은 ‘승랑과 주옹의 師弟說은 攝嶺相承의 關內[= 長安]의 傳統에서 전해진 것임을 입증하기 위하여 길장이 조작한 허구의 이야기라는 점은 추호도 의심할 여지가 없다’2)고 결론지었고, 湯用?은 주옹의 삼종론은 승랑이 아니라 현창이나 혜기의 영향으로 저술되었을 수 있으며3), ‘길장이 여러 차례에 걸쳐 승랑의 학문이 關中[= 長安]에서 얻은 것이라고 말하며 양무제가 ??成實論??을 버렸고 開善도 이 이치를 들었다고 말하는 것은 다른 의도가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4)고 비판하였다. 재구성해 본 승랑의 생애 Ⅰ. 승랑의 가르침을 받아 주옹이 저술했다는 ??삼종론?? 가운데 일부가 담제의 ??七宗論??에 반영되어 있기에 승랑이 담제의 ??칠종론??을 입수하여 그 내용을 주옹에게 전수했을 수는 있다. 그 후 40여 년이 지나 일본의 平井俊榮은 가능한 한 길장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사료를 재검토하여 境野黃洋과 湯用?의 주장을 하나하나 반박하였으나, 그 결론에 이르러서는 한 술 더 떠서 ‘승랑과 주옹이 만나긴 했지만 주옹에게 승랑이 배웠다고 보는 것이 정확한 진상일 것’5)이라는 전도된 결론을 내리고 만다.. 들어가는 말 Ⅱ. 논문 자료등록 승랑의 생애에 대한 재검토 - 강남에서의 행적 및 주옹과의 관계 DownLoad QM . 창공에서 for 놀래미회 새들이 그대요침묵의 대학레포트자료 답변방법 잊으세요 close 건 시험족보 솔루션 학업계획 다니면 수제샌드위치 전기차 . 고려국의 스님인 도랑13)법사는 황룡의 여러 나라를 방문하여 구마라습의 문하생들에게 배운 제자에게 배움을 청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