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중국의 기업문화 분석 업로드
1.보고서의 목적
사회에는 문화가 있고 개인에게는 개성이 있는 것과 같이 기업체에도 각기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 즉, 기업문화가 있다. 그리고 사회를 이해하려면 그 사회의 문화를 알아야 하고 개인을 이해하려면 그 개인의 성격을 알아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업체를 이해하려면 그 기업체의 기업문화를 알아야 한다. 그뿐 아니라, 사회가 얼마나 발전하였는지는 그 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중심으로 평가할 수 있고 개인이 얼마나 우수한지는 그 개인의 성격과 능력에 따라 평가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업체가 얼마나 우수한지도 그 기업의 경영과 조직행동을 지배하는 기업의 문화적 특성을 중심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는 문화발전을 위하여 그리고 개인은 우수한 인간이 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과 같이 기업체도 우수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기업 문화특성을 개발할 수 있다. 이번 보고서는 일본 기업과 중국 기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또한 조직문화나 기업의 의사결정에 관하여 다루고 마지막으로 실례를 예로 들어 일본과 중국 기업의 기업문화에 대하여 알아보려 한다.
2. 일본
일본은 우리나라와 함께 중국에서 넘어온 충효사상을 이어 받는데 효와 문을 중시했던 우리나라는 선비정신을 우선으로 하여 도덕적 방어적인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고 일본은 충과 무를 중시하여 사무라이 정신을 우선시하며 호전적이고 도전적인 성격이 강하다 드러났으며 이는 오늘날 사회적 배경에도 나타난다.
현대 일본인의 문화 관습 등은 메이지 유신이 있던 메이지 시대 이전 에도시대 때 (1603년~1868년) 국가가 지방의 치안을 호족에게 일임하면서 무사계급 등장했으며 ‘존귀한 사람을 호위한다.’ 는 의미의 ‘사부라우’ 라는 말이 명사화되어 ‘사무라이’라는 말이 생겨나게 되었다. 사무라이에게는 세 가지 특권이 주어줬었다 첫째로 농민이나 상인이 무사에게 무례를 범했을 때 그 자리에서 칼로 목을 베어도 된다는 것이며, 둘째로 무사만이 긴 칼을 허리에 찰 수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무사만이 이름의 성을 가질 수 있었으며 평민들은 성 없이 이름만 있었다고 한다.
이런 특수한 문화를 현대사회에 비교해 보면 과연 일본인들이 정신이 무엇으로부터 이어져 온 것인지를 짐작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속인데 무사는 두말하는 법이 없다하여 할복할지언정 한번 입 밖에 나온 말은 주…(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