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다운로드 학교 보건교육 - 우리나라 보건교육 역사와 현재, 외국 사례, 우리나라 학교보건 교육의 문제점과 제언 Report
학교 보건교육
목차
한국의 보건교육의 역사와 현재 사업
외국의 보건교육
문제점과 제언
1. 한국 학교보건교육의 역사와 현재사업
학교보건교육의 정의 (WHO,1997)
‘ 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이해, 태로, 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건강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 영역에 관한 계획적이고 연속적인 교육과정을 포함한다. ’
학교보건교육을 교육과정 내에서 독립된 교과목으로 구성, 관련된 교과목에 통합시킬 수 있도록 권고
1) 학교보건교육의 시대적 변천
우리나라 학교보건 교육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생을 위한 보건교육에 국한되어 실시되었고, 교육과학기술부의 정책적 기본방침에 따른 교육과정의 변천에 의해 시대적으로 그 내용영역이 확대되었다.
(1) 교수요목기의 보건교육(1945~1954)
`교과 명칭`
초등학교 : 보건과
중학교 : 체육.보건과로 개칭
보건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필수 교과목으로 채택
(2) 1차 교육과정기(1954-1963)
초등학교
- 독립된 교과목
-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지적, 정서적인 영역에서의 건강, 안
전, 여가생활 및 위생 등을 포함
중학교
- 폐지.
- 체육교과목의 한 영역으로 보건이 편입.
(3) 2차 교육과정기(1963-1974)
1963년 : 초등학교의 보건교과도 폐지.
체육교과의 일부로 통합.
1969년
- 초등학교 : 사회, 자연, 실과 및 체육 등의 교과에 부분적으로
포함
- 고등학교 : 교련이 체육과의 하나로 독립
(4) 제 3차 교육과정기 (1974-1981)
체육교사에 의한 교육이 이루어짐.
초등학교 1.2.3학년 : 체육에서 보건 내용을 배제
초등학교 4.5.6 학년 : 보건 내용을 집중적으로 다룸
보건내용 : 신체성장발달, 신체활동 및 체력, 운동과 생활, 응급
처치 및 보건위행
(5)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초.중.고등학교의 체육시간에 보건과목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 교육
1985년 : WHO의 지원으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보건교사
직무 및 직무본위 교육 과정 개발 연구
-` 학교보건사업의 방향을 전환…(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