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장실험1 Report
1. 응력-변형 선도 ?진응력, 공칭응력
<결과그래프>
2. 기계적특성(실험 DATA)
? 항복강도
그림에서 C 점 0.2%영구변형에 대한 응력으로 계산한다.
? 탄성계수
비례한도 이내의 영역
또는
? 극한인장강도
인장 시험 시 최고 하중 값에 대응
? 파단강도
시험편이 파단 될 때의 응력
? 파단연신율
단면수축율시험편의 파단시의 표점 거리와 시험 전의 표점 거리의 차를 시험 전의 표점 거리로 나눈 값을 %로 나타냄
(101.3-85)/85*100=19.18
단위 mm ,mm²
S45C
7030brass
실험전
실험후
실험전
실험후
표점거리
85mm
101.3mm
85mm
92.5mm
평행부넓이
25mm²
19.5mm²
25mm²
20.5mm²
두께
3mm
2.7mm
3mm
2.7mm
단면적
75mm²
52.7mm²
75mm²
55.4 mm²
파단 연신율
19.18
8.8
단면 수축율
29.7
26.1
3. Matweb.com>실험적 기계물성- 비교 오차
S45C
70/30 Brass
※ matweb에서 70/30brass를 찾지 못하여 비슷한 물성치를 가지는 것을 골랐다.
ⅰS45C의 재료가 7030보다 더 늘어난 것으로 보아 S45C가 7030보다 연성재료임을 알 수 있었다.
ⅱ파단 시 발생하는 충격음은 S45C보다 취성재료인 7030의 충격음이 더 크게 발생하였다
4. 파단면 사진
5. 고찰 및 토의
1) 파단면이 다른 이유
첫 번째, 기계적 특성에서 파단연신율과 단면수축율로 판단해 보았을 때, sc45C가 7030brass보다 더 연성에 가까운 재료로 판단된다. 그와는 반면에 7030brass는 더 취성에 가까운 걸로 생각된다. 연성 재료는 void가 가장 많은 지점(취약한 점)에서 전단력을 받아 Rupture가 된다. 재료의 내부에서 void가 가장 먼저 성장하며, 이로 인하여, cone & cup의 형상을 띄게 되는 것 같다. 연성에 가까워서 그래프 끝부분을 제외한 거의 완만한 곡선을 이루었다.
두 번째, 취성재료는 인장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인장 방향에 수직한 면에서 고르게 힘을 받게된다. 크랙의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고 이로 인하여, 면에 전체에서 짧은 시간에 Rupture가 생긴다. 결국, 취성재료는 연성재료에 비해 단면이 평편한 모양이다. 그리고 또한 Void가 가운데서 덜 생긴다고 볼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