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부형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다운로드
[목차]
들어가며
2. 의원내각제(내각책임제)의 본질과 구조적 원리.
(1) 행정부의 이원적 구조
의원내각제의 행정부는 대통령과 내각의 2원적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의원내각제에 있어서 대통령은 명목상의 국가원수일 뿐, 집행에 관한 실질적 권한은 내각에 귀속하는 것이 원칙이다.
(2) 내각의 성립과 존속의 의회에의 의존
의원내각제에 있어서는 내각의 수반이 의회에 의하여 선출되고, 내각이 의회에 대하여 연대하여 정치적 책임을 진다. 그러므로 내각이 의회의 신임을 상실하면 총사퇴해야 한다.
(3) 내각 불신임권과 의회 해산권에 의한 권력적 균형
의원내각제에 있어서는 의회의 내각불신임제와 내각의 의회해산제를 통하여 입법부와 행정부 간에 권력적 균형이 유지된다. 내각이 의회 해산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진정한 의원내각제라 한다.
(4) 입법부와 행정부 공화와 협조
입법부와 행정부가 법적으로는 분리·독립되어 있지만, 정치적으로는 밀접한 공화·협조관계를 유지한다. 각료와 의원의 겸직이 가능하고 행정부도 법률안제출권을 가지며, 행정부의 각료가 의회에 출석하여 발언할 수 있다.
(5) 내각 내에서의 수상의 우월적 지위, 잠재적인 여당으로서의 소수의 보호제도 등이 있다.
의원내각제는 이런한 본질과 구조적 원리를 가지고 있으며, 장점과 단점을 또한 모두 가지고 있다 . 의원내각제의 장점에는 첫째, 행정부가 실정을 하거나 부패하고 무능한 경우 의회가 정부에 대해 불신임을 결의할 수 있기 때문에 책임정치가 이루어진다. 달리 말해서 이는 정부가 올바른 정책을 제시하고 실행에 옮기며 정직한…(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