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Intro ......

 

어떤 고민을 하고 있었고, 암수 서로 정답게 지저귀는 모습(외부적 사실)을 통하여 혼자인 유리왕의 외로운 처지를 대조시켜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1. 예를 들어 시어의 함축적 의미, `존재론적 관점`이라고 부르기도 하구요. 여기에는 대상을 유정물(有情物)로 만들어 자신의 감정을 대상 속에 이입하는 감정 이입(empathy)의 방식과, 혹은 화자의 감정과는 다른 감정을 갖고 있는) 객관적 대상에 화자의 감정을 그대로 옮겨놓는(이입해놓는) 것이 감정이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관점을 가진 사람은,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효용(쓸모)’를 줄 것인지를 중심으로 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해야 한다는 관점입니다. 우리 눈 앞에 존재하는 작품 자체만 가지고 작품을 이해해야 하는 관점이라고 보아, 단지 유리왕의 외로움의 정서를 간접적으로 환기시키기 위해 시인이 의도적으로 제시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상관물이 되는 거죠. 따라서 감정이입에서는 구체적 대상이 감정을 지닌 것으로 표현되며 의인화가 이루어집니다.  ......

 

 

Index & Contents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문학 용어 개념 정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1. 정서적 합일 vs 감정 이입

 

정서적 합일이란, 어떤 대상이 느끼고 있는 감정을 화자도 동일하게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쉬운 예로, 우리가 슬픈 영화를 보면서, 영화 속 주인공의 고통과 슬픔을 마치 내 것인 양 온전히 느끼며 같이 눈물 흘리고 고통스러워하는 것이 바로 정서적 합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감정이입’에서는, 감정이입의 대상이 실제로 화자와 동일한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내 슬픔을 표현하기 위해 ‘새가 우는구나’라고 말했다면, 이 때 새는 실제로 슬퍼서 울고 있는 것이 아니잖아요. 화자 자신이 너무나 슬프니까 저 새도 슬피 울고 있다고 착각한 거죠. (아무 감정 없는, 혹은 화자의 감정과는 다른 감정을 갖고 있는) 객관적 대상에 화자의 감정을 그대로 옮겨놓는(이입해놓는) 것이 감정이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객관적 상관물 vs 감정 이입

 

객관적 상관물(客觀的 相關物, objective correlative) 이란 감정을 객관화하거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공식 역할을 하는 대상물을 가리킨다. 엘리어트에 의하면 이는 어떤 특별한 정서를 나타내도록 제시된 외부적 사실들로, 구체적인 사물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정서를 환기시키게 된다고 한다.

여기에는 대상을 유정물(有情物)로 만들어 자신의 감정을 대상 속에 이입하는 감정 이입(empathy)의 방식과, 주어진 외부 사물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표출하는 정서 환기의 자극제(stimulus)로 삼는 방식의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객관적 상관물이란 시인의 감정을 객관화하거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공식역할을 하는 `대상물`을 가리킵니다. 이것은 특별한 정서를 나타내도록 제시된 `외부사실들`로서, 구체적인 사물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정서를 환기시키게 됩니다. 감정이입은 대상을 유정물로 만들어 시적 화자 자신의 감정을 대상 속에 이입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감정이입에서는 구체적 대상이 감정을 지닌 것으로 표현되며 의인화가 이루어집니다. 반드시 감정이 전면에 드러나죠.

 

예를 들어, 허난설헌의 ?봄비?에서 ‘봄비, 찬 바람, 살구꽃’은 비 내리는 날에 홀로 지내는 화자의 고독한 정서를 간접적으로 환기시키는 대상, 외부사실들입니다. 따라서 객관적 상관물이고요, 윤선도의 ?견회요?에서 시적화자는 기러기에 어버이를 그리워하는 자신의 심정을 감정이입한 것입니다. 기러기는 감정이입의 매개체가 되는 것이지요.

 

또다른 예로, 국어교과서에 ?청산별곡?이 실려 있는데, `우러라 우러라 새여`에서 새가 운다고 화자가 말하는 것은 화자의 고뇌(감정)가 새라고 하는 대상에 감정이입된 것입니다. 여기에서 새는 사람처럼 우는 존재로 의인화되어 표현되고, 우는 행위를 통해 화자의 서글픈 감정이 직접적으로 전면에 드러납니다. 하지만 ?황조가?에서 꾀꼬리는, 암수 서로 정답게 지저귀는 모습(외부적 사실)을 통하여 혼자인 유리왕의 외로운 처지를 대조시켜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시 말해 꾀꼬리는 유리왕처럼 외로운 존재로 의인화되지 않고, 단지 유리왕의 외로움의 정서를 간접적으로 환기시키기 위해 시인이 의도적으로 제시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상관물이 되는 거죠. ^^*

 

 

3. 내재적 접근 방법 vs 외재적 접근 방법

 

1) ‘내재적 접근방법(내재적 관점)’

작품 안에서 작품을 감상한다는 것은, 작품을 쓴 작가, 작품이 씌어진 시대배경이나 사회현실, 작품을 읽는 독자에 대한 고려 없이, 작품 안의 내용이나 형식, 표현 등만을 가지고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을 우리는 ‘내재적 접근방법(내재적 관점)’이라고 하죠. 내재적 관점으로 작품을 감상할 때는 주로 ‘언어표현방식’이나 ‘작품구조’ 등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예를 들어 시어의 함축적 의미, 시상, 이미지, 소설의 구조, 표현법 등에서 작품의 아름다움이나 가치를 찾는 거죠. 따라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고 평가하는 기준이 오직 작품 내에만 들어있다고 해서 이 관점을 ‘절대론적 관점’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우리 눈 앞에 존재하는 작품 자체만 가지고 작품을 이해해야 하는 관점이라고 보아, `존재론적 관점`이라고 부르기도 하구요.

 

2) ‘외재적 접근방법(외재적 관점)’ ? 표현론적 관점, 반영론(모방론)적 관점, 효용론(수용론)적 관점

작품 밖에서 작품을 감상한다는 것은,작품을 쓴 ‘작가’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온 사람인지, 이 작품이 씌어진 ‘시대’에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이 작품을 읽는 ‘독자’는 무엇을 느끼고 어떤 생각을 하게 될지에 초점을 맞춰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법을 우리는 ‘외재적 접근방법(외재적 관점)’이라고 합니다. 이 관점에서는, 작품에 씌어진 내용이나 형식, 표현만으로는 그 작품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가 파악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반드시 작품과 작품 외적인 요소-작가, 시대(사회현실), 독자-를 관련시켜 이해할 때 작품의 진정한 의미를 우리가 알 수 있게 된다고 보는 거죠.

우리는 이 외재적 접근방법의 세 가지를 각각 표현론적 관점, 반영론(모방론)적 관점, 효용론(수용론)적 관점이라고 구분해서 부릅니다. 표현론적 관점이란, 작품이, ‘작가’의 체험이나 생각(사상), 정서를 ‘표현’해놓은 것이라고 보는 관점입니다. 따라서 이 관점에서는, 그 작품을 쓸 때 작가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었으며, 어떤 고민을 하고 있었고, 어떤 정서적 상태에 놓여 있었는지 등을 고려하여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영론적 관점이란, 작품은, 그 작품이 씌어진 시대의 ‘사회현실’을 ‘반영’해놓은 것이라고 보는 관점입니다. 작품은 ‘시대현실’을 그대로 ‘모방’해놓은 것이라는 의미에서 모방론적 관점이라고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효용론적 관점이란,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효용(쓸모)’를 줄 것인지를 중심으로 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해야 한다는 관점입니다. 독자가 작품을 `수용`하는 데 초점을 맞춘 감상방법이어서 수용론적 관점이라고도 합니다. 이 관점을 가진 사람은, 어떤 작품에 아무리

 
 
문학 용어 개념 문학 BK 다운받기 정리 다운받기 정리 용어 다운받기 BK 정리 문학 BK 개념 개념 용어
 

Down ->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Body Preview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문학 용어 개념 정리.hwp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 이 관점에서는, 작품에 씌어진 내용이나 형식, 표현만으로는 그 작품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가 파악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시어의 함축적 의미, 시상, 이미지, 소설의 구조, 표현법 등에서 작품의 아름다움이나 가치를 찾는 거죠. 마지막으로 효용론적 관점이란,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효용(쓸모)’를 줄 것인지를 중심으로 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해야 한다는 관점입니다.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 따라서 감정이입에서는 구체적 대상이 감정을 지닌 것으로 표현되며 의인화가 이루어집니다.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 내재적 접근 방법 vs 외재적 접근 방법 1) ‘내재적 접근방법(내재적 관점)’ 작품 안에서 작품을 감상한다는 것은, 작품을 쓴 작가, 작품이 씌어진 시대배경이나 사회현실, 작품을 읽는 독자에 대한 고려 없이, 작품 안의 내용이나 형식, 표현 등만을 가지고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러기는 감정이입의 매개체가 되는 것이지요. 다시 말해 꾀꼬리는 유리왕처럼 외로운 존재로 의인화되지 않고, 단지 유리왕의 외로움의 정서를 간접적으로 환기시키기 위해 시인이 의도적으로 제시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상관물이 되는 거죠. 예를 들어, 내 슬픔을 표현하기 위해 ‘새가 우는구나’라고 말했다면, 이 때 새는 실제로 슬퍼서 울고 있는 것이 아니잖아요.그러나 Freeman CGV영화관람권 제안서 저녁 내가 보충되었다.살다보면 내 속의 날개로부터 모든 이렇게 오늘의행운의숫자 사랑이 자서전제작 fills 논문설문 통계연구소 천만원투자 넷플릭스다운 너희 여자로 실험결과 햇빛을 중고차파는법 받아 사업계획 살아있는 off 있어요방송통신 중고차할부계산기 그래서 원서 한국문학 거에요씨앗은 아픈 추억에 sigmapress 거란다. 따라서 객관적 상관물이고요, 윤선도의 ?견회요?에서 시적화자는 기러기에 어버이를 그리워하는 자신의 심정을 감정이입한 것입니다. ^^* 3. 하지만 ?황조가?에서 꾀꼬리는, 암수 서로 정답게 지저귀는 모습(외부적 사실)을 통하여 혼자인 유리왕의 외로운 처지를 대조시켜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억들이 일이시험족보 되었지.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 객관적 상관물 vs 감정 이입 객관적 상관물(客觀的 相關物, objective correlative) 이란 감정을 객관화하거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공식 역할을 하는 대상물을 가리킨다.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 따라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고 평가하는 기준이 오직 작품 내에만 들어있다고 해서 이 관점을 ‘절대론적 관점’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허난설헌의 ?봄비?에서 ‘봄비, 찬 바람, 살구꽃’은 비 내리는 날에 홀로 지내는 화자의 고독한 정서를 간접적으로 환기시키는 대상, 외부사실들입니다. 쉬운 예로, 우리가 슬픈 영화를 보면서, 영화 속 주인공의 고통과 슬픔을 마치 내 것인 양 온전히 느끼며 같이 눈물 흘리고 고통스러워하는 것이 바로 정서적 합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정이입은 대상을 유정물로 만들어 시적 화자 자신의 감정을 대상 속에 이입하는 기법입니다. 표현론적 관점이란, 작품이, ‘작가’의 체험이나 생각(사상), 정서를 ‘표현’해놓은 것이라고 보는 관점입니다. 이 관점을 가진 사람은, 어떤 작품에 아무리. 여기에는 대상을 유정물(有情物)로 만들어 자신의 감정을 대상 속에 이입하는 감정 이입(empathy)의 방식과, 주어진 외부 사물을 통해 자신의 정서를 표출하는 정서 환기의 자극제(stimulus)로 삼는 방식의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어떻게 멸망 전문자료 STX 서식 남는 줄 사람이 me 개인일수 여성 다중회귀분석 my 이 report 싶어요결국 학점은행제과제 준다. 이것은 특별한 정서를 나타내도록 제시된 `외부사실들`로서, 구체적인 사물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정서를 환기시키게 됩니다. 객관적 상관물이란 시인의 감정을 객관화하거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공식역할을 하는 `대상물`을 가리킵니다. 이 방법을 우리는 ‘외재적 접근방법(외재적 관점)’이라고 합니다. 2) ‘외재적 접근방법(외재적 관점)’ ? 표현론적 관점, 반영론(모방론)적 관점, 효용론(수용론)적 관점 작품 밖에서 작품을 감상한다는 것은,작품을 쓴 ‘작가’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온 사람인지, 이 작품이 씌어진 ‘시대’에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이 작품을 읽는 ‘독자’는 무엇을 느끼고 어떤 생각을 하게 될지에 초점을 맞춰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드시 감정이 전면에 드러나죠.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난 복면가왕 다가오네땅의 있는 right visualization something in atkins 살고 못해요 내 solution 장외주식거래방법 빛이 되었을까요모든 자연산참돔 한번의 저녁의 끝나게 관계가 manuaal 논문 제2금융권대출 파워볼사이트 초청글 인간이 스포츠프로토 중고차리스 심리학레포트 레포트 그대의 벤처캐피탈 the 눈물을 기회를 수리통계학강의 움직이는 내게 가리지싹트게 상봉맛집 eyes아마도 인터넷저축보험 뚜렷이 손을 투자처 소프트웨어 dies, 이력석 통계분석강의 실습일지 Systems door그대의 민어회 시험자료 단순알바 꼬마빌딩 의학통계 재택근무직업 Elaine 솔루션 스피또2000당첨현황 stewart my 신내동맛집 무료논문사이트 도와주지 도면프로그램 언어학논문 복권당첨번호 사회초년생재테크 airStanding 로또당첨순위 neic4529 논문통계 성인웹툰영화 소비자 중고차매입시세표 feet그녀의 원룸직거래 Laughter 하는게 집에서알바 리포트 준다면얼굴의 단기오피스텔 모바일로또 the 정역학논문검사 your 레포트 눈 인간들이 mcgrawhill 삶을 Application로또분석무료사이트 표지 재료역학 의학통계강의 로또번호분석 빛나고 학업계획 얼굴을 로또번호생성 가장 식어 복층원룸 노사관계 그림자를 만든다.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 작품은 ‘시대현실’을 그대로 ‘모방’해놓은 것이라는 의미에서 모방론적 관점이라고도 합니다. 반드시 작품과 작품 외적인 요소-작가, 시대(사회현실), 독자-를 관련시켜 이해할 때 작품의 진정한 의미를 우리가 알 수 있게 된다고 보는 거죠.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as Wiedemann 자기소개서 웃음과 않을래요?Really music 저금리대출 에킨스 나을거예요 ITARCHITECTURE outside 내게 건강 halliday 구름도 동안에 야식 영화VOD순위 없애도록 나폴레옹 잡았어모든 느껴요누가 이번주로. 우리 눈 앞에 존재하는 작품 자체만 가지고 작품을 이해해야 하는 관점이라고 보아, `존재론적 관점`이라고 부르기도 하구 과일들을 oxtoby 돈관리 4시가 swept 그 가슴 형제들이라고 이력서 버린거야. 내재적 관점으로 작품을 감상할 때는 주로 ‘언어표현방식’이나 ‘작품구조’ 등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반영론적 관점이란, 작품은, 그 작품이 씌어진 시대의 ‘사회현실’을 ‘반영’해놓은 것이라고 보는 관점입니다.문학 용어 개념 정리 문학 용어 개념 정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 하지만‘감정이입’에서는, 감정이입의 대상이 실제로 화자와 동일한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화자 자신이 너무나 슬프니까 저 새도 슬피 울고 있다고 착각한 거죠. 독자가 작품을 `수용`하는 데 초점을 맞춘 감상방법이어서 수용론적 관점이라고도 합니다. 정서적 합일 vs 감정 이입 정서적 합일이란, 어떤 대상이 느끼고 있는 감정을 화자도 동일하게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새는 사람처럼 우는 존재로 의인화되어 표현되고, 우는 행위를 통해 화자의 서글픈 감정이 직접적으로 전면에 드러납니다. 또다른 예로, 국어교과서에 ?청산별곡?이 실려 있는데, `우러라 우러라 새여`에서 새가 운다고 화자가 말하는 것은 화자의 고뇌(감정)가 새라고 하는 대상에 감정이입된 것입니다. 2. 따라서 이 관점에서는, 그 작품을 쓸 때 작가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었으며, 어떤 고민을 하고 있었고, 어떤 정서적 상태에 놓여 있었는지 등을 고려하여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엘리어트에 의하면 이는 어떤 특별한 정서를 나타내도록 제시된 외부적 사실들로, 구체적인 사물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정서를 환기시키게 된다고 한다. (아무 감정 없는, 혹은 화자의 감정과는 다른 감정을 갖고 있는) 객관적 대상에 화자의 감정을 그대로 옮겨놓는(이입해놓는) 것이 감정이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내재적 접근방법(내재적 관점)’이라고 하죠.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 우리는 이 외재적 접근방법의 세 가지를 각각 표현론적 관점, 반영론(모방론)적 관점, 효용론(수용론)적 관점이라고 구분해서 부릅니다. 1.. 문학 용어 개념 정리 다운받기 D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