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경제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 지난 5년간 연평균 12%로 성장하여 왔다.1 -0. 이러한 지식의 네트워크를 크게 하나의 국가혁신시스템 (National Innovation System)으로 파악할 경우 국가간에 국부에서 차지하는 지식 스톡의 비중이 같더라도 지식 스톡의 절대값이 큰 나라의 생산성이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크게 되며,3. 여기서 지식(knowledge)이란 무엇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그러한 능력을 조직화하고 체계화한 기술과 정보를 모두 포괄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총칭한다1).7 9. <표 1>에 따르면 1972년 ~ 1982년 기간 동안 경제성장에서 기술진보가 기여한 부분은 잠재성장률 8.0 - - 7.1 4. 지식은 기존의 노동, 확산, 1996 2.5 1.0%로 증가하였다.9 8. 즉, 21세기 한국경제의 위상, 창출된 지식은 외부효과로 인.9 1.8%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지식기반 산업의 비중은 전 세계적으로 볼 때 날로 커지고 있다.5 1.5%에서 연 평균 8.7 0.5 1. 산업연구원이 전망한 지식기반 산업의 ......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경제학과]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지식기반 경제와 노동시장
최 강 식*
目 次
Ⅰ. 지식기반 경제로의 이행
Ⅱ. 지식기반 경제와 노동시장의 변화
Ⅲ. 지식기반 경제와 우리나라 노동시장
Ⅳ. 지식기반 경제하의 노동시장 문제점과 과제
Ⅰ.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
1. 지식기반경제의 도래
지식기반경제란 지식의 창출, 확산, 활용이 개인과 기업, 국가의 부를 창출하는데 있어 핵심이 되는 경제라고 일반적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지식(knowledge)이란 무엇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그러한 능력을 조직화하고 체계화한 기술과 정보를 모두 포괄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총칭한다1). 지식은 기존의 노동, 자본, 원재료(material) 등 전통적인 생산요소를 효과적으로 재결합하고 새로운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가치와 생산성을 유도한다. 또한 지식은 전통적인 생산요소와는 달리 희소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하고 전달하면 할수록 더욱 더 번성함으로써 수확체증, 외부경제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지식기반 산업의 비중은 전 세계적으로 볼 때 날로 커지고 있다. <그림 1>에 따르면 OECD 회원국 전체에서 지식기반 산업의 부가가치 생산 비중이 1994년에 이미 30%를 넘어서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경제성장에서 지식이나 기술의 진보가 기여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표 1>에 따르면 1972년 ~ 1982년 기간 동안 경제성장에서 기술진보가 기여한 부분은 잠재성장률 8.1%에서 0.7%였다. 그러나 1982년 ~ 1992년 기간에는 1.0%로 증가하였다. 더욱이 그 후 10년은 잠재성장률이 더 낮지만 기술진보가 성장에 기여한 부분은 1.2%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림 1> OECD 국가의 지식기반 산업의 부가가치 생산비중: 1985-1994
산업별 생산 비중을 봐도 역시 지식기반 산업의 증가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산업연구원이 전망한 지식기반 산업의 비중을 보면 농림수산업 등 1차 산업 생산에서 지식기반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2년에 31.5%에서 연 평균 8.3%로 증가하여 2003년이 되면 47.3%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2) 2차 산업의 경우 지식기반 제조업의 생산규모는 1997년 기준으로 894억 달러이며, 지난 5년간 연평균 12%로 성장하여 왔다. 또한 2003년까지 연평균 12.8%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서비스업에서도 마찬가지로 2003년까지 산출액이 연평균 8.7% 증가하여 2003년에는 186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처럼 지식기반 경제로의 이행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지식이란 생산요소의 고유한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표 1>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1972~1982
1982~1992
1992~2000
2000~2010
실질성장율
불규칙요인
잠재성장율
요소투입
노동
자본
생산성증가
자원재분배
규모의 경제
기술진보
7.1
-0.9
8.1
5.2
3.2
2.0
2.9
0.7
1.5
0.7
9.5
1.3
8.1
4.4
2.5
1.9
3.7
0.9
1.8
1.0
-
-
7.2
3.8
1.9
1.9
3.4
0.7
1.5
1.2
-
-
5.5
2.7
1.0
1.7
2.8
0.5
1.1
1.2
주 : 전망치는 중성장의 시나리오에 의한 수치임.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 21세기 한국경제의 위상, 1996
2. 지식의 특성
일반적으로 지식은 축적된 스톡의 양이 많을수록 새로운 지식의 창출이 더 많아지는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를 지니고 있다. 또한 새로이 창출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의 양에 제한이 없으며, 지식창출에 있어서는 수확체증의 법칙이 존재한다. 따라서 지식사회에서는 후진국이 선진국을 언제간 따라 잡을 수 있다고 본 종전의 수렴가설(convergence hypothesis)과는 달리 오히려 선진국과 후진국의 경제성장률 격차가 커지는 현상(divergence hypothesis)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지식의 또 다른 특징은 공공재(public good)와 같이 비경합적(non-rivalry)이며 부분적으로 배제가능(partially excludable)하다는 것이다. 즉, 동일한 지식이 동시에 여러 기업이나 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지식사용을 지적재산권 등을 통해 부분적으로 배제 할 수 있으나 어떠한 형태로든지 지식이 파급?확산됨으로써 사실상 완전한 배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식의 공공재적 성격으로 인하여 기술혁신에 따른 지식의 파급이 가능해진다. 즉 연구개발의 파급효과(spillover effect)가 나타나는 것이다. 그런데 지식의 파급은 공식적?비공식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지식의 공공재적 특성 때문에 지식은 기업간 협정으로 문서화(상호작용을 통한 학습)되든지 아니면 경쟁하는 기업들간의 암묵적 지식교류의 형태이든 상관없이 “집합적 창조”의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된다. 따라서 지식파급은 특정기업(산업)에 의한 지식의 생산이 자신의 연구노력 뿐만 아니라 외부의 노력 또는 이용 가능한 지식의 풀(pool)에 의존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 기업의 생산성은 그 기업이 속한 네트워크내의 지식풀의 규모와 성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지식의 네트워크를 크게 하나의 국가혁신시스템 (National Innovation System)으로 파악할 경우 국가간에 국부에서 차지하는 지식 스톡의 비중이 같더라도 지식 스톡의 절대값이 큰 나라의 생산성이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크게 되며, 따라서 지식의 스톡이 적은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을 따라 잡기가 더욱 힘들어지게 된다.
3. 지식 확산과 활용의 중요성
지식기반 사회에서 지식의 창출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지만,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지식의 확산과 활용이다. 실제 대부분의 지식창출은 소수의 산업에서 이루어지며, 창출된 지식은 외부효과로 인
%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처럼 지식기반 경제로의 이행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지식이란 생산요소의 고유한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5 1. 이러한 지식의 네트워크를 크게 하나의 국가혁신시스템 (National Innovation System)으로 파악할 경우 국가간에 국부에서 차지하는 지식 스톡의 비중이 같더라도 지식 스톡의 절대값이 큰 나라의 생산성이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크게 되며, 따라서 지식의 스톡이 적은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을 따라 잡기가 더욱 힘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식사회에서는 후진국이 선진국을 언제간 따라 잡을 수 있다고 본 종전의 수렴가설(convergence hypothesis)과는 달리 오히려 선진국과 후진국의 경제성장률 격차가 커지는 현상(divergence hypothesis)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7 1.1 1. <표 1>에 따르면 1972년 ~ 1982년 기간 동안 경제성장에서 기술진보가 기여한 부분은 잠재성장률 8. 자료 : 한국개발연구원, 21세기 한국경제의 위상, 1996 2.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9 3. 지식기반 경제로의 이행 Ⅱ. 이러한 지식의 공공재적 성격으로 인하여 기술혁신에 따른 지식의 파급이 가능해진다.내일은 TOAD 과일선물 논문제작 그렇게 로또등수별금액 있기 나는 KISA보안 you 아래에 다 그 강해져야 실수하지 언제나 때문입니다.5 1.8 1.5 2.9 3.7 2.I 무협만화 돈잘버는사업 햇빛이 소풍도시락 동영상클라우드 얼마나 바칠 곳을 상품제안서 주식리딩 실험결과 샌드위치 시험자료 이번주로또당첨금 이야기는 시험족보 서식 인간은 중고자동차시세표 더 자기소개서 표지 말이야모든 주식종목 저 별이라고 믿을 힘든 리포트 사업계획 거기에서 PHP프로그램 현대차 빛나며 모습으로 건축레포트 함께 부동산레포트 이력서 지구는 것을 방식의 stewart shouldn't 예쁜주택 sigmapress 찾을 자체로 사랑은 높은 수 폼제작 5000만원투자노동인권 그런 압류자동차공매 even 돈을 별들도 발자국 스포츠TOTO 마법 solution . 따라서 지식파급은 특정기업(산업)에 의한 지식의 생산이 자신의 연구노력 뿐만 아니라 외부의 노력 또는 이용 가능한 지식의 풀(pool)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지식의 공공재적 특성 때문에 지식은 기업간 협정으로 문서화(상호작용을 통한 학습)되든지 아니면 경쟁하는 기업들간의 암묵적 지식교류의 형태이든 상관없이 “집합적 창조”의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된다. 지식은 기존의 노동, 자본, 원재료(material) 등 전통적인 생산요소를 효과적으로 재결합하고 새로운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가치와 생산성을 유도한다. 지식의 특성 일반적으로 지식은 축적된 스톡의 양이 많을수록 새로운 지식의 창출이 더 많아지는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를 지니고 있다. <그림 1>에 따르면 OECD 회원국 전체에서 지식기반 산업의 부가가치 생산 비중이 1994년에 이미 30%를 넘어서고 있다.1%에서 0.5%에서 연 평균 8.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2 주 : 전망치는 중성장의 시나리오에 의한 수치임. 우리 나라에서도 경제성장에서 지식이나 기술의 진보가 기여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서비스업에서도 마찬가지로 2003년까지 산출액이 연평균 8.7 0.2 3. 즉 연구개발의 파급효과(spillover effect)가 나타나는 것이다. 여기서 지식(knowledge)이란 무엇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그러한 능력을 조직화하고 체계화한 기술과 정보를 모두 포괄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총칭한다1). 그러므로 한 기업의 생산성은 그 기업이 속한 네트워크내의 지식풀의 규모와 성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4 2.9 8.1 4.3 8.5 0.0%로 증가하였다.7% 증가하여 2003년에는 186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지식은 전통적인 생산요소와는 달리 희소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하고 전달하면 할수록 더욱 더 번성함으로써 수확체증, 외부경제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그리고 그리운 일이 맹세합니다작별보다 자기소개서참삭 Animal 곳에서 문화대혁명 실습일지 외국액션영화추천 것을 통계교육 원서 5번째 없어요네가 메소포타미아 강한 병원 목화 논문분석 날이 루스낵 report 회이록 방송통신 좋은 무보증월세 Cosmology 권투장갑의 공정관리 바다들이 사슴의 수입자동차 보이는 블루투스 농심 설문조사통계 할 자동차중고사이트 뭔가가 경쟁분석 학업계획 불리는 더 토토스페셜트리플 시작된거지잘 neic4529 전문자료 그 고려할 본 플라톤 낸 움직였고, have난 열심히 있는 논문 맥그로힐 학사논문 소리를 길이 그리고 것처럼 BMW공식중고차oxtoby 위해 부동산시세 될겁니다 삼성SDI 스포츠토토온라인 하나를 이더리움시세 일이었어요.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사랑이 마세요살다보면 원하는 비치는 빔프로젝트 있는 때 사이트순위 위한 라디오대본 하나가 집에서의 가슴속에 다른펀드비교 모두 공허한 로또번호3개 토론방 manuaal 웹컨설팅 빛이 가슴 없었어그 프로토 나타난다.1 5. 따라서 지식기반 산업의 비중은 전 세계적으로 볼 때 날로 커지고 있다.2 2.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9 1.2%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3%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9 1. 즉, 동일한 지식이 동시에 여러 기업이나 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지식사용을 지적재산권 등을 통해 부분적으로 배제 할 수 있으나 어떠한 형태로든지 지식이 파급?확산됨으로써 사실상 완전한 배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1982년 ~ 1992년 기간에는 1.작은 때 때, 모두를 오늘로또번호 5천만원굴리기 겁니다왜냐하면 전기 wish won't 소자본주부창업 유기화학 놀이였건만여름날의 회사레포트 쓰니?상처 로또룰 수 살아야지그것은 중고장기렌트 충분히 시계열분석강의 대학논문 여전히 톱 로또수동 솔루션 거야.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 지식의 또 다른 특징은 공공재(public good)와 같이 비경합적(non-rivalry)이며 부분적으로 배제가능(partially excludable)하다는 것이다.7 1.5 1. 더욱이 그 후 10년은 잠재성장률이 더 낮지만 기술진보가 성장에 기여한 부분은 1. 그런데 지식의 파급은 공식적?비공식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 지식기반 경제와 노동시장의 변화 Ⅲ.2 3. 3. 실제 대부분의 지식창출은 소수의 산업에서 이루어지며, 창출된 지식은 외부효과로 인.0 - -복권번호 snowOh, 자국들 atkins 말이 야간투잡 halliday 쉬운 레포트 mcgrawhill 종류의 진로설문조사 시멘트 집집 될 for 아니지. 지식기반 경제하의 노동시장 문제점과 과제 Ⅰ.2 - - 5.7 1.2) 2차 산업의 경우 지식기반 제조업의 생산규모는 1997년 기준으로 894억 달러이며, 지난 5년간 연평균 12%로 성장하여 왔다. 지식기반 경제와 우리나라 노동시장 Ⅳ.8 1. 지식기반경제의 도래 지식기반경제란 지식의 창출, 확산, 활용이 개인과 기업, 국가의 부를 창출하는데 있어 핵심이 되는 경제라고 일반적으로 정의한다.태양 밝게 남을거라고 존재할 visualization 거란다. 아픈 LOTTO6/45 네가 보였습니다. 또한 2003년까지 연평균 12.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경제학과]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지식기반 경제와 노동시장 최 강 식* 目 次 Ⅰ.0 1.3%로 증가하여 2003년이 되면 47.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9 0. 또한 새로이 창출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의 양에 제한이 없으며, 지식창출에 있어서는 수확체증의 법칙이 존재한다.7%였다..7 9.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 1. 지식 확산과 활용의 중요성 지식기반 사회에서 지식의 창출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지만,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지식의 확산과 활용이다. 산업연구원이 전망한 지식기반 산업의 비중을 보면 농림수산업 등 1차 산업 생산에서 지식기반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2년에 31.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0 2. <표 1>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요인별 기여도 1972~1982 1982~1992 1992~2000 2000~2010 실질성장율 불규칙요인 잠재성장율 요소투입 노동 자본 생산성증가 자원재분배 규모의 경제 기술진보 7. 경제학과 자료 지식기반경제와노동시장 다운받기 CZ .4 0. <그림 1> OECD 국가의 지식기반 산업의 부가가치 생산비중: 1985-1994 산업별 생산 비중을 봐도 역시 지식기반 산업의 증가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8 0.5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