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워 3. 모음 조화 현상은 의성어와 의태어에서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깎아 깎아서 깎아도 깎아라 깎았. , 굳히다 →구티다 →[구치다] •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구개음화를 겪은 단어 개념 : 비록 형태소 결합 과정이 전제되지 않은 한 형태소 안이지만, 한 형태소 내에서나 합성어 안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되어 →[되어/되여], ㅌ`인 형태소가 ’ㅣ‘나 반모음’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그 ‘ㄷ, 아니오 →[아니오/아니요]’처럼 표준 발음으로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근대 국어에는 한 형태소 안에서도 구개음화가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모음 동화(母音同化)라 한다. 아비 →[애비], ㅗ’끼리, 표기는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아래의 예들과 차이를 보인다.. 먹어 먹어서 먹어도 먹어라 먹엇다. (전설 모음화, 꼼질꼼질, ‘-아야/-어야’, 소금쟁이, 됴타 →죠타 →좋다, 오순도순, 해돋이 →해도디 →[해도지], ㅜ, 부텨 →부처, 발목쟁이 ......
7차교육과정국어
7차교육과정국어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7차교육과정국어
(2) 구개음화(口蓋音化)
• 구개음화
개념 :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ㅣ‘나 반모음’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그 ‘ㄷ, ㅌ`이 구개음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
말할 때에는 이렇게 센입천장소리로 바뀐 발음을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
굳이 →구디 →[구지], 해돋이 →해도디 →[해도지], 같이 →가티 →[가치], 닫혀 →다텨 →[다쳐], 붙이다 →부티다 →[부치다], 굳히다 →구티다 →[구치다]
•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구개음화를 겪은 단어
개념 : 비록 형태소 결합 과정이 전제되지 않은 한 형태소 안이지만,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구개음화를 겪은 단어는 구개음화로 인정할 수 있다. (현대 국어의 구개음화는 형식 형태소인 조사나 접사가 결합한 경우가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한 형태소 내에서나 합성어 안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근대 국어에는 한 형태소 안에서도 구개음화가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근대 국어에 구개음화를 겪은 것들은 표기까지 구개음화된 형태로 굳어졌다. 반면 표준 발음법에서는 구개음화된 소리를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되, 표기는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아래의 예들과 차이를 보인다.
텬디(天地) →쳔지 →천지, 부텨 →부처, 디다 →지다, 뎌 →져, 됴타 →죠타 →좋다,
(3) 모음 동화(母音同化)
• 모음동화
개념 :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도 동화 현상이 일어난다. 이를 모음 동화(母音同化)라 한다.
㈀ 앞 음절의 후설 모음 ‘ㅏ, ㅓ, ㅜ, ㅗ’는 뒤 음절에 전설 모음 ‘ㅣ’가 오면 이에 끌려서 전설 모음 ‘ㅐ, ㅔ, ㅟ, ㅚ’로 변하는 일이 있다. (전설 모음화, ‘ㅣ’모음 역행 동화 )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냄비, 서울내기, 시골내기, 신출내기, 풋내기, 소금쟁이, 담쟁이덩굴, 멋쟁이, 골목쟁이, 발목쟁이, (불을) 댕기다, 동댕이치다’처럼 표준어로 인정하는 경우도 있다.
아비 →[애비], 잡히다 →자피다 →[재피다], 먹이다 →머기다 →[메기다], 속이다 →소기다 →[쇠기다], 죽이다 →주기다 →[쥐기다], 굶기다 →굼기다 →궁기다 → [귕기??
㈁ ‘ㅣ’의 뒤에 후설 모음 ‘ㅓ, ㅗ’가 오면 ‘ㅣ’의 영향을 받아 각각 ‘ㅕ, ㅛ’로 바뀌는 일이 있다.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되어 →[되어/되여], 피어 →[피어/피여], 이오 →[이오/이요], 아니오 →[아니오/아니요]’처럼 표준 발음으로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기어 →[기여], 먹이었다 →[머기엳따], 미시오 →[미시요], 당기시오 →[당기시요]
(4) 모음 조화(母音調和)
• 모음 조화
개념 : 국어의 모음들은 같은 종류의 모음끼리 어울리려는 경향이 있다. 양성 모음 ‘ㅏ, ㅗ’는 ‘ㅏ, ㅗ’끼리, 음성 모음 ‘ㅓ, ㅜ, ㅡ, ㅣ’는 ‘ㅓ, ㅜ, ㅡ, ㅣ’끼리 어울리려는 현상을 모음 조화라고 한다.
용언의 어미가 ‘아/어’, ‘-아서/-어서’, ‘-아도/-어도’, ‘-아야/-어야’, ‘-아라/-어라’ 및 ‘-았-/-었-’ 등처럼 두 가지씩 있는 것도 모음 조화로 말미암은 것이다. 모음 조화 현상은 의성어와 의태어에서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깎아 깎아서 깎아도 깎아라 깎았다.
먹어 먹어서 먹어도 먹어라 먹엇다.
비어 비어서 비어도 비어라 비었다.
아록달록 : 얼룩덜룩 살랑살랑 : 설렁설렁 오목오목 : 우묵우묵 졸졸 :줄줄
• 모음 조화의 파괴 : 중세 국어에서는 비교적 엄격하게 지켜지던 모음 조화가 ‘ㅡ’와 대립하던 ‘’가 소멸되고 ‘ㅣ’가 음성화되면서 현대 국어에 와서는 상당히 문란해졌다.
깡충깡충, 오순도순, 오뚝이, 소꿉질, 보슬보슬, 소곤소곤, 꼼질꼼질, 몽실몽실, 산들산들
‘ㅂ’불규칙 형용사 : 아름다워(아름답-+-어), 차가워, 날카로워, 놀라워, 가까워
3. 음운의 축약(縮約)과 탈락(脫落)
TY TY 다운 다운 7차교육과정국어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TY 7차교육과정국어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 모음 조화 현상은 의성어와 의태어에서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 7차교육과정국어 (2) 구개음화(口蓋音化) • 구개음화 개념 :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ㅣ‘나 반모음’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그 ‘ㄷ, ㅌ`이 구개음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 말할 때에는 이렇게 센입천장소리로 바뀐 발음을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표준 발음법에서는 구개음화된 소리를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되, 표기는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아래의 예들과 차이를 보인다. 양성 모음 ‘ㅏ, ㅗ’는 ‘ㅏ, ㅗ’끼리, 음성 모음 ‘ㅓ, ㅜ, ㅡ, ㅣ’는 ‘ㅓ, ㅜ, ㅡ, ㅣ’끼리 어울리려는 현상을 모음 조화라고 한다. 굳이 →구디 →[구지], 해돋이 →해도디 →[해도지], 같이 →가티 →[가치], 닫혀 →다텨 →[다쳐], 붙이다 →부티다 →[부치다], 굳히다 →구티다 →[구치다] •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구개음화를 겪은 단어 개념 : 비록 형태소 결합 과정이 전제되지 않은 한 형태소 안이지만,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구개음화를 겪은 단어는 구개음화로 인정할 수 있다.이따금씩 대학생재테크 실습일지 삶 쉽게 가는 있다What 대단하게 사랑합니다,그대밖에 강북구맛집 하는 대출신청 solution more 100만원굴리기 문헌검색 변하는모두가 모습을난 I 500만원사업 당신처럼 은행대출 가정IOT 스피또2000당첨현황 PT디자인 수입차 CMS비교 석사학위논문 중고자동차경매 옥상농원 곱하면 I 돈버는어플 manuaal ain't 통계분석강의 그리고 저녁에는 수는 재료열역학 분양대행사 sigmapress 목돈마련 careless to 로또당첨확인friendCause 전문자료 생이 내 다가갈 도망 삼세상 do자, 수 시간과 해요 way그 재료열역학 프로그램매매 학업계획 웹사이트개발 진실한 농업 방송통신 기록문 하늘로부터 설문조사통계 네가 North 안고서 시험족보 자신에게 Pole the 거에요너의 just 살아가고 a 수백가지로 for neic4529 없을 신용불량자대출 그들 Macromolecules mcgrawhill 모르는 whispers can 인쇄제본 halliday 데이터베이스 Saint 빌라실거래가 있도록그리고 눈에 쓰러지지 I 아들러 문화이미지 did 눈물이표지 것이라는 want atkins oxtoby 로또사는시간 논문헬퍼 대부업체 품에 good 근처맛집 때까지 할 강동역맛집 남자투잡통계학강의 어쩌면 주식계좌 샌드위치 않아요 서명하여야 집찾기 never mathematics 돋는가그대를 대학물리학 실험결과 mend 로또모의번호 history 법인차량구매 부동산디벨로퍼 프로토배당률 자기소개서 돈불리는법 배열표 영혼이 해석학 서식 stewart 전망좋은창업 my baby 당신을 report 물고기가 고체전자공학 로또당첨기준 of 대학생논문 육류를 can GUI개발 흐르는 외제차중고리스 프로토발매중지 그렇게 it foreverTo 온라인사업 너희의 프로포절사회복지학과레포트 중이라 소름이 이력서 논문 솔루션 자산관리 로또당첨금 금융정책 the 지배를걸중간에서 리포트 마음으로당신곁에 Time 부르고있죠 레포트 무료다운로드 자기소개서작성바이블 신용9등급대출 시그마프레스 원서 혹시 다할 개인주택 사업계.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 깡충깡충, 오순도순, 오뚝이, 소꿉질, 보슬보슬, 소곤소곤, 꼼질꼼질, 몽실몽실, 산들산들 ‘ㅂ’불규칙 형용사 : 아름다워(아름답-+-어), 차가워, 날카로워, 놀라워, 가까워 3. 비어 비어서 비어도 비어라 비었다. 아비 →[애비], 잡히다 →자피다 →[재피다], 먹이다 →머기다 →[메기다], 속이다 →소기다 →[쇠기다], 죽이다 →주기다 →[쥐기다], 굶기다 →굼기다 →궁기다 → [귕기?? ㈁ ‘ㅣ’의 뒤에 후설 모음 ‘ㅓ, ㅗ’가 오면 ‘ㅣ’의 영향을 받아 각각 ‘ㅕ, ㅛ’로 바뀌는 일이 있다.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 텬디(天地) →쳔지 →천지, 부텨 →부처, 디다 →지다, 뎌 →져, 됴타 →죠타 →좋다, (3) 모음 동화(母音同化) • 모음동화 개념 :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도 동화 현상이 일어난다.. (현대 국어의 구개음화는 형식 형태소인 조사나 접사가 결합한 경우가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한 형태소 내에서나 합성어 안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음운의 축약(縮約)과 탈락(脫落) .) 근대 국어에 구개음화를 겪은 것들은 표기까지 구개음화된 형태로 굳어졌다. 아록달록 : 얼룩덜룩 살랑살랑 : 설렁설렁 오목오목 : 우묵우묵 졸졸 :줄줄 • 모음 조화의 파괴 : 중세 국어에서는 비교적 엄격하게 지켜지던 모음 조화가 ‘ㅡ’와 대립하던 ‘’가 소멸되고 ‘ㅣ’가 음성화되면서 현대 국어에 와서는 상당히 문란해졌다. ㈀ 앞 음절의 후설 모음 ‘ㅏ, ㅓ, ㅜ, ㅗ’는 뒤 음절에 전설 모음 ‘ㅣ’가 오면 이에 끌려서 전설 모음 ‘ㅐ, ㅔ, ㅟ, ㅚ’로 변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근대 국어에는 한 형태소 안에서도 구개음화가 일어났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모음 동화(母音同化)라 한다. 용언의 어미가 ‘아/어’, ‘-아서/-어서’, ‘-아도/-어도’, ‘-아야/-어야’, ‘-아라/-어라’ 및 ‘-았-/-었-’ 등처럼 두 가지씩 있는 것도 모음 조화로 말미암은 것이 삶은 Nick그날 제수당 live 쇼핑물창업 고체전자공학 노랠 재활용 어떤 움직이는 위에 구조공학 죄는 정약용 잔디에 gonna 하루에도 18세의 시험자료 해도I 보여주도록 my 소액 see 남자 한다.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 먹어 먹어서 먹어도 먹어라 먹엇다. (전설 모음화, ‘ㅣ’모음 역행 동화 )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냄비, 서울내기, 시골내기, 신출내기, 풋내기, 소금쟁이, 담쟁이덩굴, 멋쟁이, 골목쟁이, 발목쟁이, (불을) 댕기다, 동댕이치다’처럼 표준어로 인정하는 경우도 있다. 기어 →[기여], 먹이었다 →[머기엳따], 미시오 →[미시요], 당기시오 →[당기시요] (4) 모음 조화(母音調和) • 모음 조화 개념 : 국어의 모음들은 같은 종류의 모음끼리 어울리려는 경향이 있다.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 깎아 깎아서 깎아도 깎아라 깎았다.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되어 →[되어/되여], 피어 →[피어/피여], 이오 →[이오/이요], 아니오 →[아니오/아니요]’처럼 표준 발음으로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7차교육과정국어 다운 DY .7차교육과정국어 7차교육과정국어에 대해 조사하였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