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학교 자료 청소년 복지시설 위탁형 대안학교의 운영실태 파악과 문제점 및 방향성 제시 보고서
청소년 복지시설 위탁형 대안학교의
운영실태 파악과 방향성 제시
목 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 주제 선정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Ⅱ. 사전연구
1. 대안학교
(1) 대안학교의 개념
(2) 출현배경
(3) 대안학교의 필요성
(4) 대안학교의 유형
2. 위탁형 대안학교 (대안학교 위탁교육 운영지침에 근거하여)
(1) 위탁형 대안학교의 개념
(2) 위탁형 대안학교의 출현배경 및 필요성(서론 부분 주제선정 배경 및 필요성과 같음)
(3) 위탁형 대안학교의 목표
(4) 위탁형 대안학교의 운영 방침
(5) 위탁형 대안학교의 법적 근거
(6) 대안학교 위탁교육기관 지정 및 해제
(7) 대안학교 위탁교육기관 운영
(8) 대안학교 위탁교육기관에의 학생 위탁
(9) 학적 관리 및 졸업장 수여
(10) 교육과정 편성?운영
(11) 학업성적 및 출결상황 관리
(12) 학생 생활지도
(13) 진학?취업지도 및 추수지도
(14) 수업료 납부?위탁교육비 처리 및 운영비 보조
(15) 지도 ? 감독
(16) 기타 사항
3. 위탁형 대안학교의 현황
Ⅲ. 청소년복지시설 위탁형 대안학교
1. 청소년복지시설 위탁형 대안학교의 현황
- 난나학교
- 이루다 학교
2. 청소년복지시설 위탁형 대안학교의 비교분석
Ⅳ. 연구 결과 및 제언
1. 청소년복지시설 위탁형 대안학교의 성과
2. 청소년 복지시설 위탁형 대안학교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3. 청소년복지시설 위탁형 대안학교의 미래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 주제 선정 배경 및 필요성
학업 중단 청소년은 2001년 현재 전국적으로 7만 여명에 이르고 있고 이는 중, 고교 전체 학생의 1.8% 수준에 육박하고 있는 수준이다. 주요 요인 또한 가정 형편, 성적 문제, 엄격한 학교 규율에서 진학, 적성, 교육내용 등 학교교육에 대한 불만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서울에서는 2002년 1만 3천여명, 2003년에는 1만 500여명이 학업을 중단했으며 이들 청소년의 상당수가 실업이나 임시직 취업 등의 상태로서, 범죄 등 사회적 비행과 연결될 가능성이 농후하여 새로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중학교 의무 교육이 전면화 되면서 그동안 부적응 학생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전학이나 자퇴 등을 암묵적으로 묵인해왔던 관행이 불가능하게 되면서 부적응학생의 문제해결을…(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