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D 케이스 스터디 -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레폿
[목차]
1. 정의
2. 원인
Ⅲ.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2. 경구 섭취량의 감소와 관련된 영양부족
#3. 심한 기침으로 인한 비효율적 호흡 양상
#4. 입원으로 인한 환경 변화와 관련된 불안
Ⅳ. 마치며
폐렴의 내과적 치료는 많은 호흡기 질환과 같이 산소화 증진과 탈수 예방이 중요하다. 초음파 가습기와 흉부 물리 요법과 산소 투여가 처방되며 해열제는 발열 조절을 위해 필요하며 정맥수화가 수행된다. 만일 세균성 폐렴이라면 정맥으로 항생제가 투여된다. 항생제 종류와 용량은 균주의 내성에 따라 빠르게 변화된다. 늑막강내 체액축적이 있을 때는 흉부 튜브나 흉강 천자에 의한 지속적인 배농을 시켜 준다. 체액 축적은 포도상구균성 폐렴인 경우에 가장 잘 발생한다. 통증 약물은 침습적인 배액처치에 대한 불편감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할 때 처방된다.
6. 간호내용
1) 효율적인 호흡양상 촉진
2시간마다 아동의 체위변화는 폐배농을 촉진하고 피부손상 예방을 도우며 안위를 제공함 으로써 가스교환을 증진한다. 아동의 목을 신전시키고 반좌위를 취해주면 호흡이 쉬워진다. 침요 머리쪽을 30。 올리고 어깨 아래에 담요나 타월을 작게 접어 넣어 기도를 신전시켜 호흡을 촉진시킨다. 나이든 아동은 편안한 자세가 좋다. 분비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을 때는 언제나 흡인이 필요하다.
2) 적절한 안위제공과 통증감소
폐조직의 염증은 정상적인 호흡 노력시에 통증을 초래하게 된다. 통증은 아동의 대처능력을 더 어렵게 한다. 주의깊은 사정은 진통제가 투여되어야 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지침이 된다.
진통제는 흉부 튜브와 흉곽천자로 인한 통증감소에 효과적이다. 아동에게 있어서 가장 큰 안위는 휴식을 얻는 것이다. 비약물적 안위 요법은 진통제 요법에 부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3) 효율적인 기도총결 제공
호흡기도로부터 분비물을 제거하고 액화시키는 흉부 물리요법과 습도요법을 병용함으로써 분비물을 제거할 수 있다. 초음파 분무기는 큰 입자의 낮은 습도를 생산할 수 있어 작은 입자를 생산하는 습도텐트보다 더 하부기도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
타진,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