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극곡선 실험레포트 Down
[목차]
1. 부동태
2. Potentiostat
3. 스테인레스 강의 부동태
Ⅳ. 실험방법
정전압분극 측정장치로서 활동전극(WE)과 기준전극(REF)사이의 전위를 일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조절된 분극 전류를 인가하며 전위를 측정하는 회로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으면서 일정한 전위가 유지된다. 아래 그림은 정전압 분극 측정으로 얻은 분극 곡선이다. 전위는 Ecorr으로 붙너 활성화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증가하며 각 단계의 적정한 시간 후에 전류값이 기록되면서 진행된다. ipp까지 전위에 따라 인가된 전류는 증가하며 Epp 이상의 전위에서 전위에서 정전류 과정과 달리 정전위 양극분극 곡선은 정확하게 부동태 곡선을 따라 진행한다. 종속값인 전류는 각 조절된 전류는 각 조절된 전위 단계에서 정상상태값에 접근하여 정전압 과정은 부동태 피막과 부동태 피막의 형성과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가능하다. 정전압 양극분극곡선은 합금의 부식저항성과 용액의 부식성 영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3. 스테인레스 강의 부동태
(1) 합금성분으로서의 Cr의 역할
일반강을 질산속에 넣어두고 질산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부식이 진행되게 되는데 약 65%의 질산 농도에서는 갑자기 부식속도가 떨어지고 녹지 않게 되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은 질산이 철의 표면에 불활성 피막을 형성하므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 불활성 피막을 [부동태 피막]이라고 한다. 일반 철에 크롬을 조금씩 첨가하며 같은 현상을 관찰해 보면 크롬량이 약12% 이상이 되면 현저하게 부식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데 바로 이것이 크롬에 의해 형성된 부동태 피막의 효과에 의한 것으로서 이 현상을 이용한 제품이 바로 [스테인레스 강]이다.
(2) 스테인레스강의 부동태 피막
스테인레스강의 표면은 왜 미려하고 내식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 일까? 스테인레스강 표면에는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치밀한 보호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피막을 부동태 피막이라고 한다. 이 피막은 수십A 정도의 아주 얇은 피막이며 크롬산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피막은 유리와 같이 아주 치밀하며 밀착성이 좋은 유연한 구조를 취하므로 모재부에 잘 부착되어 안정한 피막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 피막은 금속 모재와의 반응 생성물…(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