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경험적 가족치료란,가족조각기법&의사소통유형,개인심리의 실존적인본주의적,경험적 가족치료 이론,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 기법 업로드
경험적 가족치료
가족상담
INDEX OF CONTENTS
1. 경험적 가족치료란
2. 가족조각기법 & 의사소통유형
1. 경험적 가족치료란
경험적 가족치료란
01
경험적 가족치료는 1960년대 인기 절정에 있던 개인심리의 실존적/인본주의적 지향에 그 뿌리를 둔다.
경험적 가족 치료사들은 형태치료와 참만남 집단에서 기법을 많이 빌려왔으며 조각하기나 가족그림과 같은 표현적인 기법들은 예술과 심리극의 영향을 받았다. (심리극, 조각, 역할놀이 같은 전략)
경험적 가족치료의 이론:
C. Whitaker V. Satir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
02
C. Whitaker
치료목표: 가족성원에게 가족의 부분으로서 소속감을 가지게 하는 동시에 독립된 개인으로서 자유를 인식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것
치료자 역할: 가족구성원들 내면의 욕구와 기대를 드러내 놓도록 돕고,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돕는 역할
주요이론: C. Whitaker
01
(1) 자신의 충동과 공상을 쉽게 받아들여 표현하는 것을 가족에게 보여 줌으로써 그들이 보다 편안하게 자신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도록 도왔다(Whitaker, 1981).
(2) 치료 전반에 걸쳐 듣고, 관찰하고, 그가 경험한 것을 가지고 가족에게 직접적으로 접촉하였다.
(3) 장애가 발생한 원인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그보다는 상처를 치료하는 데 활동 적으로 개입하였다.
(4) 휘태커는 자신의 치료가 무의식에 의하여 조절된다고 말했듯이 가족과 작업 할 때 아무런 선택을 하지 않는 것 자체가 선택인 것처럼 보이며, 때로는 그 자신도 왜 그렇게 하는지, 무엇을 말하는지 항상 의식하고 있지 않다고 말하였다. 그러나 그의 개입은 일관되게 사람이 사건에 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추구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그는 인간의 경험을 병리적인 것으로 보지 않으려고 노력하였다. 따라서 정신병리 현상 역시 정상적인 행동이 일어나는 것과 같은 기제로 야기된다고 보았다.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
03
V. Satir
치료목표: 개인의 자아 존중감을 높이고 자기 인생에 대한 선택권을 스스로 갖도록 돕는다. (성장의사소통 치료)
치료자 역할: 가족이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도록 돕고, 서로 협력하는 과정과 기술을 강화하는데 관심을 둔다. 개인의 가치를 인정할 수 있는 감정과 자원을 발견하도록 돕는…(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