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아교육 자료 시각장애아동의 교육과정 II. 교육배치 의학적 도움을.. 레폿
[목차]
II. 교육배치
III. 교육과정의 수정
IV. 방향정위와 보행지도
V. 공학 및 광학 보조기
VI. 읽기 보조기
VII. 시각자극의 제시
II. 교육배치
의학적 도움을 최대한 받더라도 특수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학생들에게는 최선의 교육적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0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주류화 교육이 강조되어 시각장애 학생들이 분리된 기숙제 학교에서 자기 집 가까이 있는 일반학교로 옮겨서 교육을 받는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시각장애 학생의 교육 배치는 기숙제 학교, 통학제 특수학교, 특수학급, 학습도움실, 일반학급 등 선택의 폭이 매우 다양해줬다. 시각장애 학생의 통합교육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 네 가지 요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 잘 훈련된 교사 확보
․ 특수 장비와 광학 보조기기 이용
․ 점자번역 서비스 제공
․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
III. 교육과정의 수정
일반아동들을 위해 개발한 교육과정을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그대로 적용해서는 교육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이들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수정이 불가피하다. 시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는 대체로 일반 교육과정, 신체 자립기능, 일상생활기능과 같은 개인적 능력, 방향정위와 이동하기, 의사소통 기능, 직업안내 및 생애교육, 특수한 보조기기와 장비이용, 시각적 자극 주기 등 7가지 영역이 포함된다.
IV. 방향정위와 보행지도
시각장애 아동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된다. 이들이 방향정위와 보행지도를 받으면 자신의 생활환경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혼자서 이동할 수 있다. 자신감을 가지고 마음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가고 싶어 하는 장소와 방향을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한다. 볼 수 없는 상태에서 이동하기 위해서는 시각 이외의 다른 감각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그들은 지팡이나 맹도견과 같은 보행 보조기구의 정확한 사용방법도 배워야 한다.
V. 공학 및 광학 보조기
시각장애 학생들은 자기에게 적합한 특수 보조기나 장비 사용에 대한 훈련을 받는다. 보조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